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46 No.5 pp.91-94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22.46.5.003

Amelanotic Malignant Melanoma in the Maxill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ung-Min Lee1), Cheon-Seo Lee1), Hae-Hyoun Park2,3), Jae-Min Song1,3,4)*
1)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50612, Korea
2)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49 Busandaehak-ro, Mulgeum-eup, Yangsan 50612, Korea
3)Dental and Life Science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50612, Korea
4)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49241, Korea
* Correspondence: Jae Min Song,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Beomeo, Mulgeum, Yangsan, 50612, Republic of Korea Tel: +82-51-240-7429, 7431 Email: songjm@pusan.ac.kr
August 30, 2022 August 31, 2022 October 14, 2022

Abstract


Malignant melanoma is a highly malignant tumor derived from melanocyte. Malignant melanoma of the oral cavity occurs mainly in the palatine mucosa and the maxillary gingiva in men in their 50s. Malignant melanoma can be divided into pigmented and non-pigmented(amelanotic). Among them, non-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ccounts for 2-8% of all malignant melanomas.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is detected through changes in pigmentation, whereas non-pigmented malignant melanoma is characterized by no pattern of color change. In this study, at the initial visit, a malignant lesion was suspected and a biops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iopsy results, it was diagnosed as polymorphic sarcoma, but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revealed that it was amelanotic melanoma. As such, the differential diagnosis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no clinical change in non-pigmented malignant melanoma. Diseases to be differentially diagnosed when non-pigmented malignant melanoma occurs in the oral cavity include squamous cell carcinoma, lymphoma, sarcoma, inflammation, and osteomyelitis.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that showed th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melanoma without superficial pigmentation.



상악에 발생한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 증례보고 및 문헌 고찰

이 정민1), 이 천서1), 박 혜련2,3), 송 재민1,3,4)*
1)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 교실
2)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병리학 교실
3)치의생명과학연구소
4)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초록


    Ⅰ. INTRODUCTION

    구강 내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세포 기원의 침윤성 종양이 며, 1859년 Weber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대개 50대 남성들에게서 호발하며 구강 내 악성종양의 약 0.5%를 차지 한다.[1] 구강 내 호발부위는 구개 및 상악 치은이며, 하악, 혀 그리고 협측 치은 등에 전이되는 경향을 보이고, 다른 악성 종양들과 비교하여 더 공격적이고 침윤성이 강한 경향을 나타 낸다.[1] 악성 흑색종은 임상학적으로 5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 데, pigmented nodular type, pigmented macular type, pigmented mixed type, non-pigmented nodular type, non-pigmented mixed type으로 분류되며 검정색부터 붉은색까지 다 양한 색을 나타낸다.[2] 구강 내 발생하는 악성 흑색종 중 약 2-8% 정도에서 색소가 침착되지 않은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 이 관찰된다.[3,4] 무색소 또는 저색소성 흑색종의 경우 색소 성 흑색종에 비해 발병률이 매우 낮고, 임상적으로나 현미경 적으로 다른 악성 또는 양성 종양과 감별 진단이 어려우므로 면역조직화학염색법 등이 포함된 조직학적 검사가 동반되어 야 한다.[5,6] 악성 흑색종의 발병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주로 의치에 의한 자극, 담배 및 포름알데히드와 알코올의 장 기간 노출이 있을 경우 발생율이 높아질 수 있다.[5-7] 무색소 성 악성 흑색종은 임상적으로 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 가 많으므로 병소의 발견이 어려워 수술적인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강 내 다른 악성 종양과 비교하여 예후 가 불량하며, 5년 생존율이 약 10-20% 사이다.[1,7,8]

    Ⅱ. CASE REPORT

    2021년 11월 10일 76세 남성 환자가 좌측 상악 부위의 결절 성 및 홍반성 병소를 주소로 부산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로 의뢰되었다. 병력 검사상 약 1개월 전부터 좌측 상악 부위 홍반성 병소 발생하였으며, 전신 병력 상 고혈압 이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다(Figure 1). 처음 내원 시 좌측 상악 병소 부위 에 대해 조직검사 시행하였으며, 조직 검사상 다형성 육종으 로 진단되었다. 임상 검사상 좌측 상악 병소 부위 촉진 시 통 증 호소 외에는 특이소견 없었다. 방사선 검사상 CT 및 MRI에 서 좌측 상악 부위 약 2.5cm의 병소 관찰되었고, PET-CT 상에 서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Figure 2,3)

    비관 삽입을 통한 전신마취를 시행 후, 구강 내 접근을 통해 병소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 중 병소에 대해 안전 절제연을 확보한 채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상악골의 일부를 절제하여 상악동이 노출되었으나 협측 지방을 이용한 전진 피 판술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4개월인 현재 누공의 크기는 1cm 미만이다. 또한 술 중 병소 주변 6군데에 대해 동결절편생검 을 시행하였고, 모두 종양이 관찰되지 않았다(Figure ).

    적출된 병소는 병리조직소견상 멜라닌세포의 증식 및 침윤 이 관찰되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법에서 S-100, HMB-45에 대한 양성 소견 관찰되었다. 병소는 점막 악성 흑색종으로 최 종 진단되었다(Figure 5,6,7).

    Ⅲ. DISCUSSION

    악성 흑색종은 신경 능선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 이다. 발생과정에서 멜라닌 세포는 신경 능선에서 피부의 상 피 내막으로 이동하고 발달된 피부에서는 주로 기저 상피층에 존재한다.[1,2] 구강은 외배엽의 함몰 또는 함입으로 인해 발 생되는데, 피부와 유사한 구강 점막의 상피 내층은 일반적으 로 기저층에 멜라닌 세포를 포함하며, 이는 피부에서와 같이 흑색종으로 발전할 수 있다.[1]

    흑색종의 90% 이상이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며, 약 1%의 흑색종이 점막 표면에서 발생한다. 점막 흑색종의 가장 흔한 부위는 머리와 목 부위이며, 항문, 직장, 여성 생식기, 요로 순으로 호발한다.[6] 흑색종의 2% 미만에서 착색이 발견되지 않지만, 구강 점막의 경우 최대 2/3정도에서 착색이 없는 흑색종 이 관찰된다.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은 착색되지 않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된 악성 종양으로 정의된다.[5]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 는 임상적으로 색소 침착이 없지만 조직병리학적으로 멜라닌 색소 침착이 있는 경우도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으로 정의한다.

    구강 내 흑색종의 경우 다른 부위에 발생한 흑색종에 비해 예후가 더 나쁘다. 5년 생존율은 일반적으로 10-25% 사이이 며, 구강 내의 부분적인 색소 병변은 피부에 비해 확인이 더 어려워 병소가 발달된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 문이다.[1] 또한 색소 침착이 없는 흑색종의 경우 양성 종양으 로 잘못된 진단을 할 수 있고, 통증이나 출혈과 같은 증상은 질병의 진행 과정에서 비교적 늦게 나타나므로 병소가 발견된 시기에 종양 세포의 수직적 침범이 발생한 경우가 많다. 때문 에 무색소성 악성 흑생종의 진단을 하기 위해서 생검은 필수 로 시행되어야 하며 S-100, HMB-45, Melan-A와 같은 면역조 직화학기법은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5]

    흑색종의 주된 치료 방법은 수술이다. 흑색종의 경우 병소의 두께에 따라 안전 절제연이 달라지는데, in situ인 경우 0.5cm, 1.0mm 미만인 경우 1.0cm, 1.0-2.0mm 인 경우 1-2cm, 2mm 이상인 경우는 2.0cm의 안전 절제연이 필요하다. 두경부에 발생된 흑색종은 늦은 발견으로 인해 주변 조직으로 침윤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방사선학적 영상을 통해 전이를 확인하고 전이된 조직의 수술적, 방사선학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9]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의 경우 3년 생존율이 약 20% 정도로 나타나는 반면, 착색이 있는 흑색종의 경우 3년 생존율이 약 58% 정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의 경우 정확한 진단이 지연되어 흑색종이 보다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3] 또한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 자체의 공격성 및 성장 경향, 높은 재발율과 전이 발생률도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

    위 환자에서 상악 구개 중앙부에서 다수의 착색된 병소가 나타나는데(Figure 1), 환자의 초기 내원 시 시행한 조직 검사 에서 vimentin이 양성으로 나왔으나, melan A가 음성으로 결 과가 나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되지 않았다. 또한 궤양성 병 소의 조직 검사에서 다형성 육종으로 진단됨으로써 악성 흑색 종에 대한 진단을 배제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포함한 조직 검사에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되어 구개 부의 착색 병소를 추가적으로 조직검사 및 면역조직화학검사 를 시행하였으나, 기저부 멜라닌 세포의 이형성으로 진단되었 고 멜라닌 세포의 이형성과 악성 흑색종은 조직학적 특징이 다르므로 구개부의 착색 병소가 악성 흑색종으로 이행되기는 어렵다.[10] 하지만 본 증례에서와 같이 무색소 침착 및 홍반 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이 존재할 수 있으 므로 악성 흑색종의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 해도 악성 흑색종 에 대한 진단을 배제할 수 없다.

    본 증례에서는 무색소성 악성 흑색종에서 관찰되는 무색소 침착 및 홍반성을 특징으로 하는 병소에서 다형성 육종으로 조직학적 진단 후 최종 진단에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된 증 례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1년도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

    Figure

    KAOMP-46-5-91_F1.gif

    Initial clinical image of ulcerative lesion on the left side of the maxilla. And presence of multiple pigmented lesion on the palate

    KAOMP-46-5-91_F2.gif

    MRI image of ulcerative lesion on the left side of the maxilla

    KAOMP-46-5-91_F3.gif

    PET CT image of ulcerative lesion on the left side of the maxilla

    KAOMP-46-5-91_F4.gif

    Clinical image of the left side of maxilla during surgery

    KAOMP-46-5-91_F5.gif

    High-power photomicrograph exhibiting atypical melanocytes with varying degrees of nuclear pleomorphism and hyperchromatism.

    KAOMP-46-5-91_F6.gif

    Low-power photomicrograph showing a nodular mass of malignant melanocytes and invasion of the cells into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as well as overlying epithelium.

    KAOMP-46-5-91_F7.gif

    Fig. 3 (IHC) Photomicrograph of tumor cells showing positive immunoreactivity for S-100 protein.

    Table

    Reference

    1. Rastrelli M: Melanoma: epidemiology, risk factors, pathogenesis,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In Vivo, 2014;28:1005-1011.
    2. Thuaire: Oral mucosal melanoma - A systematic review. J Stomatol Oral Maxillofac Surg 2022.
    3. Aziz Z: Oral amelanotic malignant melanoma: a case report. Pan Afr Med J 2020;37:350.
    4. Soares CD: Oral Amelanotic Melanomas: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8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1;29:263-272.
    5. Ohnishi Y: A rare case of amelanotic malignant melanoma in the oral region: Clinical investig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col Lett 2015;10: 3761-3764.
    6. Akhil S: A Rare Case of Primary Oral Malignant Melanoma of Mandibular Gingiva with an Update on Clinical Staging. Indian J Dermatol 2021;66: 427-430.
    7. Laforga Canales JB, JM Gasent Blesa: Amelanotic Anorectal Malignant Melanoma: Case Report with Immunohistochemical Study and Literature Review Case Rep Oncol, 2009;2:30-37.
    8. Bansal SP: Oral Amelanotic Melanoma: A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Head Neck Pathol 2022;16:513-524.
    9. Satish T: Treatment of recurrent mucosal melanoma of the oral cavity with topical imiquimod and pembrolizumab achieves complete histopathologic remission. J Immunother Cancer 2021;9:10.
    10. Feller L: Basal cell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and melanoma of the head and face. Head Face Med 2016;12:11.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