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46 No.2 pp.19-23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22.46.2.001

Immuohistochemical Feature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Sang Shin Le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Correspondence: Sang Shin Le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Tel: +82-33-640-2463 Email: sangshin@gwnu.ac.kr
March 2, 2022 March 11, 2022 April 1, 2022

Abstract


Background :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is the most common primary epithelial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in both adults and children. Histological grading of MEC is subjective, bu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patient prognosis. Immunohistochemistry can accurately diagnose diseases and help with treatment and prognosis. The review of this paper was intended to be help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epidermoid carcinoma. Methods : A PubMed search was carried out. Well-known biomarkers for mucoepidermoid carcinoma were searched in PubMed, and their difference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compared. Results : When PubMed searched “oral mucoepidermoid carcinoma, biomarker”, a total of 241 papers were found, among which cytokeratin(22), Muc1(membrane-bound mucin1, 9), Muc4( membrane-bound mucin4, 6), Muc5ac (membrane-bound mucin5ac, 4), Muc5b (membrane-bound mucin5b, 3), p63 (15), PCNA (15), p53 (20),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1), c-erbB2 (HER2, 14), and pAKT (2) were searched and investigated. The biomarkers retrieved above were compared with those expressed in squamous cell carcinoma. Conclusion : Due to the above biomarkers, it is possible to classify mucoepidermoid carcinoma and differentiate it from other salivary gland tumors or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구강에 발생한 점액표피양 암종의 면역조직화학적 특징

이 상신*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초록


    Ⅰ. INTRODUCTION

    점액표피양암종(Mucoepidermoid Carcinoma, MEC)은 모 든 타액선 종양 중 10~15%를 차지하며, 모든 타액선 악성 종 양 중 30% 정도를 차지하는 종양이다1,2). 고전적으로 종양 단 계와 등급은 생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예측요소이다3). 과거 에는 일부 고급 점액표피양암종이 편평상피세포암이나 상세 불명의 선암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여 1990년대 이전에 점액표 피양암종은 모든 악성 타액성 종양의 27% 정도를 차지하였으 나, 1990년 이후의 연구에서는 2배정도 증가한 45% 정도를 차지하였다4, 5). 다양한 임상 및 조직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2005년과 2017년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점액표피양암 종을 점액세포, 중간세포 및 표피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선상 피종양(malignant glandular epithelial neoplasm)으로 정의했 다6). 남성 대 여성 비율은 54.5%정도로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 는데 평균적인 연령은 48.8세로 보고되었다7). 발병시 평균 연 령은 55세이며 젊은 연령에서 나타나는 악성 타액성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이다8, 9). 이 종양은 저등급, 중등급, 및 고등급 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저등급의 점액표피양암종은 소타액선 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초기 단계에서 감지되는 반면에, 고등 급의 점액표피양암종은 대타액선, 특히 이하선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10). 현미경상에서 점액표피양암종은 표피양세포, 점 액분비세포 및 두 세포 유형사이의 중간분화세포가 다양한 비 율로 관찰된다11).

    Ⅱ. Materials and Methods

    점액표피양암종에 대한 검색을 PubMed를 통해 광범위하 게 검색하였으며, 비인간대상 으로 문헌검색을 통한 연구이기 때문에 IRB 승인이 필요하지 않았다. 검색어로는 “oral mucoepidermoid carcinoma, immunohistochemistry”를 사용하 였고, 1980년부터 2022년 최근까지 영어로 출판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물이나 실험실 테스트는 제외하였다. 점액표피양암종과 비교한 편평상피세포암의 경우는 검색어로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mmunohistochemistry”를 사용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Ⅲ. RESULTS

    PubMed에서 검색어로 “oral mucoepidermoid carcinoma, biomarker”를 사용하였을 때 총 241개의 논문이 검색되었 으며, 이중에 점액표피양암종에서 관찰될 수 있는 cytokeratin( 22)12), Muc1(membrane-bound mucin1, 9)13), Muc4 (membrane-bound mucin4, 6)13), Muc5ac(membrane-bound mucin5ac, 4)13,14), Muc5b(membrane-bound mucin5b, 3)14), p63(15)15), PCNA(15)16), p53(20)17),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1)17), c-erbB2(HER2, 14), pAKT(2)18) 등을 검색해서 조사하였다. 위에서 검색한 biomarker를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발현하는 것과 상호 비교하였다.

    Ⅳ. DISCUSSION

    1. cytokeratin

    Silveira 등에 의하면 저등급에 많은 점액세포는 CK7, 8에 양성반응을 보이는데 비해, 고등급 종양에 많은 부피를 차지 하는 표피양세포는 CK10, 13, 14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연구에서 보고하였다19). 반면에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의 경우 에는 CK10은 정상 또는 과형성된 상피에서는 강하게 발현되 는데 비하여 악성으로 전환될수록 약하게 염색되는 경향을 보 인다. 또한 CK14는 모든 종양세포에서 발현되는데 비하여 CK16을 발현되지 않는다20).

    2. membrane-bound mucins, including MUC1, MUC4, MUC5AC and MUC5B

    Alos 등이 보고한 바에 의하면, 강한 MUC1 발현은 고등급 의 조직양상, 높은 재발률 및 전이, 짧은 무병기간과 관련이 있는데 비하여 MUC4의 발현은 저등급의 조직양상, 낮은 재발 률 및 긴 무병기간과 연관되어 있다9,21). MUC5AC과 MUC5B 에 대한 발현은 저등급의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대부분이 발현 되는데 비하여 고등급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는다21). 구강편 평상피세포암에서는 MUC1이 PI3K-Akt signaling을 통하여 종 양 세포의 이주와 침습에 관여한다고 Li 등이 보고하였다22). 이에 반하여 점액세포에 주로 발현되는 MUC4, MUC5AC 및 MUC5B 등은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거의 발현이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3. p63

    전사인자인 p63은 표피각질세포(epidermal keratinocyte) 의 증식과 분화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작용한다. 저등급의 종 양에 비하여 고등급의 점액표피양암종에 강하게 발현되며 점 액류나 유두상 낭선종과 점액표피양암종을 구분하는데 도 움을 준다15). 구강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고등급으로 갈수록 p63이 강하게 발현되므로 등급을 분류하는데 도움을 준다23).

    4. PCNA, p53

    Allves 등에 의하면 다형성 선종과 같은 양성 타액선 종양 에서 p53은 거의 발현이 되지 않고 PCNA는 2/3정도에서 발현 을 보이는 반면, 점액표피양암종에서는 53%정도의 p53발현 과 강한 PCNA 발현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16). 편평상피세포 암에서의 p53과 PCNA에 강한 발현을 보이는 경우는 높은 침 습성과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24).

    5.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ErbB-1; HER1 in humans)

    막관통단백질의 일종인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는 EGFR (ErbB-1), HER2/neu (ErbB-2), Her 3 (ErbB-3), Her 4 (ErbB-4)와 같은 4개의 패밀리로 이루어져 있다. EGFR 에 대한 면역염색에서 저등급의 점액표피양암종은 약한 발현 을 보이는데 비해 중등급과 고등급의 점액표피양암종에서는 강한 발현을 보인다25). 이에 비하여 ErbB-2는 등급에 상관없 이 25%정도에서는 약한 발현을, 75%에서는 강한 발현을 나타 낸다25). 여기에서 점액표피양암종의 등급에 따른 구분에 있어 서 EGFR 발현이 도움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구강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EFGR에 대해 강한 발 현을 보이는데 비하여 ErbB-2는 약한 발현이나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26). 이와 같은 발현 양상을 통하여 점액표 피양암종과 구강편평상피세포암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좋은 biomarker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6. pAKT

    Protein kinase B (PKB)라고 알려져있는 AKT는 세포내에 서 당대사, 세포자멸사, 세포 증식, 세포이동 및 전사에 관여 하는 인자로 작용한다. Vasconcelos등에 의하면 점액표피양 암종에서는 c-MET/PI3K signaling에 연관되어 강한 발현을 보 인다고 보고하였다18). 구강내에서 발생하는 타액선 양성 종양 보다는 pAKT, p-MET, Ki-67과 같은 유전물질이 점액표피양 암종에서 더욱 강하게 발현된다18). 구강편평상피세포암에 서도 세포증식과 침습이 많을 경우 PI3K-AKT Signaling Pathway를 통한 pAKT의 강한 발현을 볼 수 있다고 Zhang 등이 보고하였다27).

    Ⅴ. CONCLUSION

    구강에서 발병하는 점액표피양암종은 조직병리학적으로 구강편평상피세포암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반적인 현미경 검사소견으로 감별진단하기에 어려운 경우 를 임상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조직양상이 고등급의 표피양 세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거나 투명세포로 변이가 일어날 경우에는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오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 우에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발현이 잘 되는데 비하여 구강편 평상피세포암에서는 발현이 되지않거나 미약하게 나타나는 MUC5AC과 MUC5B와 같은 면역염색을 통하여 감별할 수 있 다. 또한 형태학적으로 고등급과 저등급으로 암종을 구별할 수 있지만, PCNA, EGFR, cytokeratin 등의 면역염색을 통하여 정확한 감별을 통해 치료를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학술연구조 성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2018-120201).

    Figure

    Table

    Reference

    1. Xu W, Wang Y, Qi X, Xie J, Wei Z, Yin X, Wang Z, Meng J, Han W: Prognostic factors of palatal mucoepidermoid carcinoma: a retrospective analysis based on a double-center study. Sci Rep 2017;7:43907.
    2. Pires FR, de Almeida OP, de Araújo VC, Kowalski LP: Prognostic factors in head and neck mucoepidermoid carcinom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130: 174-180.
    3. Waldron CA, el-Mofty SK, Gnepp DR: Tumors of the intraoral minor salivary glands: a demographic and histologic study of 426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8;66:323-333.
    4. Birkeland AC, Foltin SK, Michmerhuizen NL, Hoesli RC, Rosko AJ, Byrd S, Yanik M, Nor JE, Bradford CR: Prince ME, Carey TE, McHugh JB, Spector ME, Brenner JC. Correlation of Crtc1/3-Maml2 fusion status, grade and survival in mucoepidermoid carcinoma. Oral Oncol 2017;68:5-8.
    5. El-Naggar AK: Editor's perspective on the 4th edition of the WHO head and neck tumor classification. J Egypt Natl Canc Inst 2017;29:65-66.
    6. Auclair PL, Goode RK, Ellis GL: Mucoepidermoid carcinoma of intraoral salivary glands.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grading criteria in 143 cases. Cancer 1992;69:2021-2030.
    7. Peraza A, Gomez R, Beltran J, Amarista FJ: Mucoepidermoid carcinoma. An updat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Stomatol Oral Maxillofac Surg 2020;121:713-720.
    8. Triantafillidou K, Dimitrakopoulos J, Iordanidis F, Koufogiannis D: Mucoepidermoid carcinoma of minor salivary glands: a clinical study of 16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Dis 2006;12:364-370.
    9. Namboodiripad PC: A review: Immunological markers for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J Oral Biol Craniofac Res 2014;4:127-134.
    10. Dalgic A, Karakoc O, Aydin U, Hidir Y, Gamsizkan M, Karahatay S, Gerek M: Minor salivary gland neoplasms. J Craniofac Surg 2014;25:e289-291.
    11. Plambeck K, Friedrich RE, Schmelzle R: Mucoepidermoid carcinoma of salivary gland origin: classification, clinical- pathological correlation, treatment results and long-term follow-up in 55 patients. J Craniomaxillofac Surg 1996; 24:133-139.
    12. Azevedo RS, de Almeida OP, Kowalski LP, Pires FR: Comparative cytokeratin expression in the different cell types of salivary gland mucoepidermoid carcinoma. Head Neck Pathol 2008;2:257-264.
    13. Robinson L, van Heerden MB, Ker-Fox JG, Hunter KD, van Heerden WFP: Expression of Mucins in Salivary Gland Mucoepidermoid Carcinoma. Head Neck Pathol 2021;15: 491-502.
    14. Matse JH, Bharos WK, Veerman ECI, Bloemena E, Bolscher JGM: Mucoepidermoid carcinoma-associated expression of MUC5AC, MUC5B and mucin-type carbohydrate antigen sialyl- Tn in the parotid gland. Arch Oral Biol 2017;82:121-126.
    15. Fonseca FP, de Andrade BA, Lopes MA, Pontes HA, Vargas PA, de Almeida OP: P63 expression in papillary cystadenoma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of minor salivary gland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2013;115:79-86.
    16. Alves FA, Pires FR, De Almeida OP, Lopes MA, Kowalski LP: PCNA, Ki-67 and p53 expressions in submandibular salivary gland tumour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4;33: 593-597.
    17. Hoyek-Gebeily J, Nehmé E, Aftimos G, Sader-Ghorra C, Sargi Z, Haddad A: Prognostic significance of EGFR, p53 and E-cadherin in mucoepidermoid cancer of the salivary gland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J Med Liban 2007;55:83-88.
    18. Vasconcelos AC, Wagner VP, Meurer L, Vargas PA, de Souza LB, Fonseca FP, Squarize CH, Castilho RM, Martins MD: Immunoprofile of c-MET/PI3K signaling in human salivary gland tumo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2015;120:238-247.
    19. da Silveira EJ, Veras Barros SS, de Amorim RF, Queiroz LM, Freitas Rde A, de Souza LB: Cytokeratin profile in mucoepidermoid carcinoma is not related to its histological grading of malignancy. Exp Mol Pathol 2006;81:72-76.
    20. Ali AA, Al-Jandan BA, Suresh CS.:The importance of ctokeratins in the early detect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J Oral Maxillofac Pathol 2018;22:441.
    21. Alos L, Lujan B, Castillo M, Nadal A, Carreras M, Caballero M, de Bolos C, Cardesa A: Expression of membrane-bound mucins (MUC1 and MUC4) and secreted mucins (MUC2, MUC5AC, MUC5B, MUC6 and MUC7) in mucoepidermoid carcinomas of salivary glands. Am J Surg Pathol 2005; 29:806-813.
    22. Li P, Xiao LY, Tan H: Muc-1 promotes migration and invas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via PI3K-Akt signaling. Int J Clin Exp Pathol 2015;8:10365-10374.
    23. Saghravanian N, Anvari K, Ghazi N, Memar B, Shahsavari M, Aghaee MA: Expression of p63 and CD44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rch Oral Biol 2017;82:160-165.
    24. Kato K, Kawashiri S, Yoshizawa K, Kitahara H, Okamune A, Sugiura S, Noguchi N, Yamamoto E: Expression form of p53 and PCNA at the invasive front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J Oral Pathol Med 2011;40:693-698.
    25. Shinomiya H, Ito Y, Kubo M, Yonezawa K, Otsuki N, Iwae S, Inagaki H, Nibu KI: Expression of amphiregulin in mucoe pidermoid carcinoma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a molecular and clinicopathological study. Hum Pathol 2016;57: 37-44.
    26. Mirza S, Hadi N, Pervaiz S, Zeb Khan S, Mokeem SA, Abduljabbar T, Al-Hamoudi N, Vohra F: Expression of HER-2/neu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sian Pac J Cancer Prev 2020;21:1465-1470.
    27. Zhang M, Lin H, Ge X, Xu Y: Overproduced CPSF4 Promotes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via PI3K-AKT Signaling Pathway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J Oral Maxillofac Surg 2021;79:1177 e1171-1177 e1114.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