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42 No.3 pp.87-90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18.42.3.004

Osteoblastoma located in the Mandible: A Case Report

Woo-Jin Shin, Han-Eol Lee, Moon-Young Kim*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Moon-Young Kim,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 South Korea Tel: +82-41-550-0271, Fax: +82-41-551-8988 E-mail: kmyomfs@dankook.ac.kr
April 24, 2018 May 25, 2018 June 22, 2018

Abstract


Osteoblastoma(OB) is a rare tumor of bone representing less than 1 % of all tumor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The lesion usually appears in vertebral column, sacrum, long bones but rare in mandible or maxilla. The lesion occurs most commonly at age from 3 to 78 years with the mean age of 22-23 years. In this article, we report one case of OB occurred in mandible. With clinica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diagnosis, preliminary diagnosis was made as Fibro-osseous lesion, osteomyelitis or cementoblastoma. Under general anesthesia, associated tooth was extracted and excisional biopsy was done.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it was diagnosed as OB. The patients which we presented did not complain any specific complications, and showed good prognosis.



하악에 발생한 골아세포종 : 증례 보고

신 우진, 이 한얼, 김 문영*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초록


    Ⅰ INTRODUCTION

    Osteoblastoma(OB)는 1956년 Jaffe1)와 Lichtenstein2)에 의 해 처음으로 소개된 neoplasm으로 모든 원발성 골 종양의 약 1 %를 차지한다3,4). 조직학적으로는 잘 혈관화 된 섬유 결합 조직 기질에 다수의 골모세포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며 양성이 고 천천히 성장하는 골 신생물이다5). 대부분의 경우 vertebral column에서 나타나고 악골에서는 흔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방사선학적으로 명백한 osteolytic bone production 과정을 나타내며 calcification도 함께 관찰할 수 있다2). 크기는 조직 학적으로 유사한 osteoid osteoma에 비해 크기가 더 큰 경향 이 있다고 한다. 증상은 없는 경우도 있으나 통증과 부종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렇게 증상이 있는 경우 aspirin이나 NSAID에는 효과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5). Laboratory findings 은 특이한 것이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수술 중 많은 출혈을 보인다고 하였다1). 이번 논문의 목적은 Mandible에 발병한 OB를소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OB와 유사한 다른 boneproducing lesion 과의 정확한 감별진단을 이루도록 하는 것 이다.

    Ⅱ CASE REPORT

    25세 남성환자가 수년 전부터 발생한 하악 좌측 제1대구치 의 저작시 통증을 주소로 처음 본원에 내원하였다. 파노라마 상 하악 좌측 제1대구치 하방 부위에 방사선 혼합상의 병소가 발견되었으며, 5년 전 신경치료를 진행한 병력이 있었다. Clinical examination 시행 시 #35 치아에서 percussion이 존재 하였고 #36, 37 치아는 percussion 및 mobility가 없었으며, 촉진 시 firm palpable hard mass가 존재하며 통증을 호소했다. 그 후 Patient history 및 임상증상을 통해 Fibro-osseous lesion, osteomyelitis, cementoblastoma로 가진단 내렸다. 파노라마 영상에서 병소는 round 타입의 opaque mass with a radiolucent border 였으며 #36 치아의 치근흡수를 보였다 (Fig. 1). 치료는 #35 치아의 신경치료 후 전신마취 하 #36 치아의 발치와 excisional biopsy가 시행되었고 술 후 정기적 검진에서 환자는 다른 감염 증상 및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 다 (Fig. 2). 조직 학적으로 H&E 염색 된 절편은 주로 신생골 을 형성하는 trabecular 또는 lamellar pattern의 골과 혈관화 가 잘 된 결합조직에 포함된 osteoid matrix로 구성되어 있었 다 (Fig. 3). 임상적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검사 결과를 토대로 OB로 진단하였다.

    Ⅲ DISCUSSION

    OB는 골에 형성되는 드믄 양성 신생물로 풍부하게 혈관화 된 기질내에 퍼져있는 조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True nature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며 Jaffe1)와 Lichtenstein2) 등은 이 병소가 osteoblastic derivation에 의한 true neoplasm이 라고 하였고 Smith6) 외 다른 연구자들은 이 병소가 trauma 또는 염증에 의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7,8). 호발 부위로는 vertebral column, sacrum, long bones, 그리고 calvarium이 며 악골에서는 굉장히 드믈게 나타난다9).

    Manjunatha9)등이 2011년까지 나온 연구들을 조사한 결과 연령대는 3세에서 78세까지 다양하게나타났고 평균 나이는 22세이며 남성과 여성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47%, 53%). 또한 64%의 환자에서 부종 및 통증의 증상을 보였고 다른 증 상이 없이 부종만 나타난 경우는 21%였다. 악골에서의 호발 위치로는 상악 보다는 하악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전방보다는 후방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더 많았다.

    OB는 Osteoid Osteoma, monostotic fibrous dysplasia, ossifying fibroma와 같은 benign fibro-osseous lesion과 감별 진단이 되어져야 한다. 이들은 보통 결합조직, osteoid, bone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숙된 정도에 따라 조직학적 상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연령은 주로 어린아이들에서 나타나 며 무통인 경우도 많다. 이러한 이유로 조직검사를 하기 전에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Osteoid osteoma는 OB와 가장 유사한 조직학적 구조를 갖 는 병소로 모든 원발성 골종양의 10~12%를 차지하여 OB보다 더 자주 나타난다. 크기는 OB에 비해 더 작은 경우가 많고 주로 1cm 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OB의 경우 2cm 이상인 경우 가 대부분이다3,10). 다른 특징으로는 Osteoid osteoma의 경우 환자가 밤에 통증을 호소하고 aspirin과 같은 NSAID로 조절되 나 OB의 경우 NSAID로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것을 통해 감별 진단 할 수 있다5).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OB의 경우 cortex 가 팽윤되거나 종종 파괴되어 나타나나 Osteoid osteoma의 경우 그런 소견이 보이지 않는다.

    Ossifying fibroma의 경우 actively growing, destructive lesion으로 어린 연령에서 호발하고 woven bone을 갖는 특징 을 보인다. OB의 경우 혈관화가 잘되어 있으며 woven bone 을 갖지 않는 특징을 통해 감별진단 할 수 있다1).

    Osteomyelitis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만으로는 감별진단 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나 well-vascularized의 소견으로 OB와 감별진단 할 수 있다1).

    Cementoblastoma는 cementum-like tissue로 구성된 신생물 로 많은 수의 reversal line를 갖는다. 조직학적으로 unmineralized matrix와 swollen cementoblasts로 이루어진 선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으며 혈관화가 없다는 것을 통해 감별진단을 할 수 있다11). 병소와 치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으며 Slootweg12) 등은 Cementoblastoma와 OB의 감별진단에 치아와 의 접촉여부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으나 Manjunatha 9) 등은 단순히 치아와의 접촉 여부로 cementoblastoma로 단정지 을 수 없으며 cementoblastoma에서 잘 보이지 않는 limited cellularity와 같은 특징들을 통해 감별진단을 내릴 수 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Osteosarcoma와 감별진단을 필요로 하는 경우 OB에서는 cellular pleomorphism, mitotic activity, tumor giant cell 등이 없는 것을 통해 감별진단 할 수 있다.

    Osteoblastoma of the jaw는 curettage 또는 local excision 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수술이 어렵거나 병소가 공격적인 경우는 Radiation therapy를 시행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술 후 예후는 좋으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다른 병소들과 감별진단을 내려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Ⅳ CONCLUSION

    Osteoblastoma는 osteoid osteoma, ossifying fibroma, cementoblastoma와 같은 다른 골형성 병소들과 혼동될 수 있 으므로 각각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특징들을 통한 정확한 감별진단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진단을 통해 적절 한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수술을 하기로 결정된 경우 완 전한 절제가 유일한 방법이며 예후는 양호하다.

    Figure

    KAOMP-42-87_F1.gif

    A, B. Orthopantomogram (Panoramic view) and Periapical view showing a round radio-opaque mass with a radiolucent border at the apex of left mandibular 1st molar.

    KAOMP-42-87_F2.gif

    Post-op Panoramic view shows no radio-opaque mass left after surgery.

    KAOMP-42-87_F3.gif

    A, B.

    (A) Osteoid and bone trabeculae rimmed by plump osteoblasts.

    (B) Well vascularized fibrous connective tissue containing osteoid and bone trabeculae surfaced by numerous osteoblasts.

    Table

    Reference

    1. H.L. Jaffe (1956) Benign osteoblastoma., Bull. Hosp. Jt. Dis., Vol.17 (2) ; pp.141-151
    2. L. Lichtenstein (1956) Benign osteoblastoma; a category of osteoid-and bone-forming tumors other than classical osteoid osteoma, which may be mistaken for giantcell tumor or osteogenic sarcoma., Cancer, Vol.9 (5) ; pp.1044-1052
    3. F.J. Frassica , R.L. Waltrip , P.D. Sponseller , L.D. Ma , E.F. McCarthy Jr (1996)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and osteoblasto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rthop. Clin. North Am., Vol.27 (3) ; pp.559-574
    4. J.H. Healey , B. Ghelman (1986) Osteoid osteoma and osteoblastoma. Current concepts and recent advances., Clin. Orthop. Relat. Res., ; pp.76-85
    5. A.C. Jones , T.J. Prihoda , J.E. Kacher , N.A. Odingo , P.D. Freedman (2006) Osteoblastoma of the maxilla and mandible: a report of 24 case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scussion of its relationship to osteoid osteoma of the jaw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Vol.102 (5) ; pp.639-650
    6. R.A. Smith , L.S. Hansen , D. Resnick , W. Chan (1982) Comparison of the osteoblastoma in gnathic and extragnathic sit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54 (3) ; pp.285-298
    7. A.S. Miller , H.M. Rambo , M.W. Bowser , M. Gross (1980) Benign osteoblastoma of the jaws: report of three cases., J. Oral Surg. (Chic.), Vol.38 (9) ; pp.694-697
    8. N.H. Smith (1972) Benign osteoblastoma of the mandible: report of case., J. Oral Surg. (Chic.), Vol.30 (4) ; pp.288-292
    9. B.S. Manjunatha , P. Sunit , M. Amit , S. Sanjiv (2011) Osteoblastoma of the jaws: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literature., Clin. Pract., Vol.1 (4) ; pp.e118
    10. E.D. Borello , H.O. Sedano (1967) Giant osteoid osteoma of the maxilla.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23 (5) ; pp.563-566
    11. R.L. Corio , B.E. Crawford , S.J. Schaberg (1976) Benign cementoblast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41 (4) ; pp.524-530
    12. PJ Slootweg (1992) Cementoblastoma and osteoblastoma: a comparison of histologic features. Journal of oral pathology & medicine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Oral Pathologist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Oral Pathology 21(9):385-9.,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