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42 No.2 pp.45-48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18.42.2.004

Central Odontogenic Fibroma Located in the Mandible: A Case Report

Han-Eol Lee, Moon-Young Kim*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Moon-Young Kim,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119 Dandae-ro, Dongnam-gu, Cheonan, South Korea Tel: +82-41-550-1912, Fax: +82-41-551-8988 E-mail: kmyomfs@dankook.ac.kr
March 13, 2018 March 23, 2018 April 6, 2018

Abstract


Central odontogenic fibroma(COF) is an extremely rare benign tumor that accounts for 0.1% of all odontogenic tumor. COF is regar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s a benign odontogenic neoplasm derived from mesenchymal odontogenic tissue. The lesion occurs most commonly in the mandible and patients ranging in age from11 to 80years with mean age of 34years. In this article, we report two case of COF. Case I was associated odontoma and impacted tooth. Odontoma and impacted tooth was removal under general anesthesia.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finally we diagnosis this lesion as COF. Patients of case II showed radiolucent lesion at the mandible. Lesion was enucleated under general anesthesia.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finally we diagnosis this lesion as COF. The patients which we presented did not complain any specific complications, showed good prognosis.



하악에 발생한 중심성 치성 섬유종: 2례의 증례 보고

이 한얼, 김 문영*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초록


    Ⅰ. INTRODUCTIONs

    Central odontogenic fibroma(COF)는 악골에서 드물게 발 생하는 성장이 느린 종양이다. COF는 전체 치성 종양 중 0.1%를 차지한다1). 또한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에서 치성 조직의 간엽세포에서 발생한 양성 치성 신생물로 분류에서 간주되고 있다2). COF는 하악에 호발하며[3], 호발 연령은 평균 34세이다. 또한 여성에서 조금 더 호발한다는 보 고가 있었다4).

    방사선 사진과 관련하여 보면, COF는 보통 잘 경계지어진 단방성 병소로 나타나며, 몇몇의 경우에서는 Scalloped margin 과 함께 다방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5]. 몇몇의 드문 케이스 에서는 방사선 투과상 및 불투과상이 혼재된 양상 및 경계가 명확하지 않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6,7). 더 진행된 병소 에서는 치근의 흡수 및 변위 등의 양상이 보인다는 보고도 있 었다8,9).

    이번 임상 증례는 하악에서 발생한 중심성 치성 섬유종으 로 총 2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Ⅱ. Case 1

    환자는 하악 우측 견치 매복 및 그 주위 복잡 치아종 발치 를 위해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로 의뢰되었다. 환자는 16세 여자였으며, 특별한 기저질환 및 수술력 등은 없었다.

    구강 검진에서 하악 우측에 만기 잔존하는 유견치가 관찰 되었으며, 유견치에 동요도는 없었다. CT(Figure 1A)와 파노 라마(Figure 1B) 영상 사진에서, 유견치 하방으로 하악 견치가 매복되어 있었고, 매복 치아 근심으로 단방성의 방사선 불투 과성 양상의 병소가 관찰되었다. 병소 주위로 잘 경계지어진 변연을 볼 수 있었다. 구강내 점막 및 치은 부위에 비대 소견 은 없었으며, 하악 우측 전치부 및 구치부에 생활력 검사등을 진행했을 때, 특이 소견은 없었다. 구외 검사를 통해서도 특이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해서 하악 우측 견치의 매복 및 Odontoma로 진단하였고, 전신 마취하에 치아 발치술 및 치아종 제거술을 진행했다. 절제된 병소는 조직 검사를 진행 하였다. 조직 검사 표본에서(Figure 2) 산재된 Odontogenic ephithelium의 산재된 nest를 볼 수 있었으며, 주위로 fibromyxoid tissue와 calcified material 등이 관찰되었다. 임상적, 방사선 학적, 병리학적 검사 결과를 토대로 COF라고 진단하였다. 술 후에 환자에게 주의 사항 등에 관해서 주지시켰으며, 특이 소 견 및 합병증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Ⅲ. Case 2

    환자는 3일전부터 왼쪽 턱 부위가 붓고 아프다는 주소로 이에 대한 처치 위해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2세 남자였으며, 특별한 기저질환 및 수 술력 등은 없었다.

    구강 검진에서 하악 좌측 구치부 후방으로 부종이 있었으 며, 촉진시에 통증이 있었다. 방사선 사진에서는(Figure 3A) 하악 제2대구치 및 제3대구치의 변위 소견이 보였으며, 조개 껍질 모양의 방사선 투과상 병소가 있었다. CT상에서(Figure 3B) 하악 우측과 비교시에 좌측에 골 팽윤 소견이 보였고, 하 악 제3대구치는 하악지 방향으로 변위되었다. 제1대구치에는 특이 소견은 없었다. 구외 검사상에 좌측 턱 부위에 부종 및 촉진 시 통증 소견이 있었고, 림프절이 촉진되는 등의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해서 하악 좌측 부위에 Keratocystic odontogenic tumor로 진단하였고, 전신 마취하 에 낭종 적출술 및 하악 좌측 제2대구치, 제3대구치 발치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병소는 조직 검사를 진행하였다. 조직 검 사 사진상(Figure 4A,B) Odontogenic epithelium island가 관 찰되었으며, 또한 그 주위로 fibromyxoid 및 collagenous stroma등이 관찰되었다. 임상 및 조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COF로 진단되었다. 술 후에 환자에게 주의 사항 등에 관해서 주지시켰으며, 수술 후 합병증 등은 없었다.

    Ⅳ. Discussion

    COF는 발생이 드문 양성 병소이고, 치성 종양 등과 비슷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10,11). WHO (2005)의 최근 분류를 보면, WHO variant와 non-WHO variant로 분류한다. WHO variant 는 mesenchymal odontogenic tumor로 여겨지며, 2가지 별개 의 세포로 이루어 진다. 2세포는 섬유요소 및 치판과 유사한 상피구성이다. non-WHO variant는 상피구성이 부족하고, 단 순형태 섬유성 종양으로 여겨진다12).

    COF의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은 상악 또는 하악의 붓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대개 통증 또는 이상 감각 등을 호소하지는 않 는다[8]. 병소는 천천히 협측 피질골을 팽창시키면서 성장을 한다. 또한 무통성으로 종창을 일으키기 때문에 환자는 초기 3년간은 병소에 관해서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는다.

    COF와 감별 진단해야 되는 병소로는 Odontogenic Cyst, ameloblastoma,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meloblastic fibroma 등이 있다. COF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보통 COF에 대한 진단은 조직학적 진단을 거친 다음에 이뤄진다. COF는 방사선 사진 상에서 단방성 혹은 다방성으로 나타나며, 잘 경계된 변연을 가진다. 몇몇의 케이스에서는 방사선 투과상과 불투과상 이 혼재된 양상과 함께 경계가 불분명하기도 하다13). 조직소견으 로 Simple 형의 COF는 병소가 섬유모세포에 의해 성숙한 교원섬 유가 배치된 양상을 보이며, 서로 같은 간격으로 있는 모습을 보인다. 비활성의 치성상피의 small nest 또는 island가 다양한 양상으로 보인다. WHO 형은 상대적으로 성숙한 세포섬유결체 조직으로 이뤄져있으며, 치성상피 도를 볼 수 있다. 또한 osteoid, dysplastic dentin, cementum-like material 등이 나타난다14).

    COF의 치료는 Enucleation을 통해서 처치를 진행한다. 수 술 후 재발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재발은 조직학적 분류와 는 관련 없이, 수술시에 불완전한 병소의 제거와 관련이 있다 고 알려져 있다15).

    Figure

    KAOMP-42-45_F1.gif

    A. Radiopaque mass on the mandible. B. Impacted right lower canine and odontoma.

    KAOMP-42-45_F2.gif

    Scattered nests of inactive-appearing odontogenic epithelium and calcified material within a background of fibromyxoid tissue (x200 HE).

    KAOMP-42-45_F3.gif

    Radiolucent lesion on the left mandible. 2nd molar seen in ramus and 3rd molar seen in angle.

    KAOMP-42-45_F4.gif

    Scattered remnants of inactive-looking odontogenic epithelium with fibromyxoid and collagenous stroma (x40 HE, x200HE).

    Table

    Reference

    1. DaskalaI.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f the mandible: a case report. J. Oral Sci.2009; 51: 457-461.
    2. PhilipsenH.P. ReichartP.A. : Classification of odontogenic tumours. A historical review. J. Oral Pathol. Med.2006; 35: 525-529.
    3. DahlE.C. WolfsonS.H. HaugenJ.C.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review of literature and report of cases. J. Oral Surg.1981; 39: 120-124.
    4. DaleyJ.D. WysockiG.P. :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1994; 78: 329-336.
    5. Mosqueda-TaylorA.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new findings and report of a multicentric collaborative stud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2011; 112: 349-358.
    6. KaffeI. BuchnerA. : Radiologic features of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1994; 78: 811-818.
    7. RaubenheimerE.J. NoffkeC.E. : Central odontogenic fibroma-like tumors, hypodontia, and enamel dysplasi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2002; 94: 74-77.
    8. CovaniU.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a case report.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2005; 10: Suppl. 2E154-E157.
    9. Cercadillo-IbargurenI. : Locally aggressive central odontogenic fibroma associated to an inflammatory cyst: a clin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J. Oral Pathol. Med.2006; 35: 513-516.
    10. GardnerD.G. : The peripheral odontogenic fibroma: an attempt at clarifica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1982; 54: 40-48.
    11. DunlapC.L. : Odontogenic fibroma. Semin. Diagn. Pathol.1999; 16: 293-296.
    12. VeeravarmalV.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f the maxilla. J. Oral Maxillofac. Pathol.2013; 17: 319
    13. SantoroA.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f the mandible: A case report with diagnostic considerations. Ann. Med. Surg. (Lond.)2016; 5: 14-18.
    14. ThankappanP.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f simple type. Case Rep. Dent.2014; ? ? ? : 642905
    15. DunlapC.L. BarkerB.F. : Central odontogenic fibroma of the WHO typ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1984; 57: 390-394.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