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42 No.1 pp.1-8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18.42.1.001

Development of Listening and Analyzing Apparatu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Sounds

Suk Jun Lee1), Hwan-Gyoo Park2), Gae-Sig Chun2)*
1)Department of International Sports Studies, School of Sprots Science, Dankook University
2)Department of Oral Physiology, Dental College, Dankook University
Correspondence: Gae-Sig Chun, Department of Oral Physiology, Dental College, Dankook University. +82-41-550-1916dkphy@dankook.ac.kr
20171219 20180112 20180209

Abstract

I have tried to make electronic listening and analyzing appratus, which were used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It can be heard T.M.J.D’s sounds. Normal person heard 20~20,000 Hz sound. Electronic appratus can capture furthermore. Electronic appratus composed of stethoscope rubber tube,small microphone, amplifier, telemetry, oscilloscope and speaker. The aim of oscilloscope and speaker are seen and heard T.M.J. sounds both dentists and patients.In developing countries, they use electronic stethoscope for diagnosis of heart sound and use for tele diagnosis. In my nation, laws of food and drugs were very rigid, so many researcher’s developed electronic stethoscope, but they could not produce it because of law. I suggest that soften the rigid law, and many new product will be produced. The apparatus that I developed was operated quite well both wired and wireless. It is suggested that we must develop new apparatus for T.M.D. patients and Telemedicine.


악관절음 청취 및 분석기기 개발

이 석준1), 박 환규2), 천 재식2)*
1)단국대학교 체육대학 국제스포츠학과
2)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리학교실

초록


    Ⅰ.INTRODUCTION

    환자를 진료하는 데는 문진, 시진, 청진, 타진, 촉진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간단한 기구중의 하나가 청진 기이다. 청진기는 1816년 르네 라에네크(Rene Laenerk)가 발 명하였는데 현재까지도 의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도구로 되어 있다. 청진기는 폐와 심장은 물론 장이나 혈관이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듣기위하여 사용된다.5)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장병은 사망의 원인 중 선두이다. 2012년 심혈관계 질환으로 1750만명이 사망했으며 사망자 10명중 3명 비율이다.6) 심장병(valvular heart disease, VHD)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진단이 중요한 역할 을 한다. 심전도(ECG)는 심장질환의 진단에 강력한 도구이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비침습적이며 사용이 쉽다. 어 쨌든 약간의 제한이 있는데 심장판막에 구조상 문제가 있는 경우와 심장잡음으로 들리는 판막의 이상을 구별하기 힘들다. 원래는 자기공명영상이나 초음파 영상이 심장의 영상을 자세 히 구별하고 이동시킨다.7) 비용이 저렴하면서 심장질환의 초 기에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이 대단히 중요한데 심장청진은 들 으며 심장의 소리를 해석하기 때문에 심장질환의 조기 진단에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전자 청진기의 출현은 최근의 기술의 발전에 의한 컴퓨터 를 이용한 청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음향 센서의 디자인 이 컴퓨터의 디지털(digital) 신호제어기술도 변화하였다. 최 근 몇 년사이 심장질환자동음향진단기인 전자청진기가 많은 주목을 끌어들였다

    청진기 발명을 기점으로 하여 이 전은 직접 청진, 이 후는 간접청진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직접청진의 부작용에 대한 해 결책이 타진이었다. 타진은 오스트리아의 외과의사 아우겐부 르거가 선보였으며 많은 의학도들이 선호하였다. 이후 라에네 크는 우연한 기회에 청진기를 발명하였고 청진기를 이용한 청 진을 간접 청진이라 하였다. 청진기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최근에는 컴퓨터와 연동되는 것 등이 있으며 X-선, 컴퓨터 단 층촬영(CT), 자기공명 영상(MRI)등의 새로운 진단장치가 등 장하고 있고 의사와 환자간의 접촉이 멀어지지만 청진기는 진 단에 꼭 필요한 장비로 남아있다.

    대부분의 심장질환은 심장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반사되거 나 연관되어 들린다.8) 심장 청음은 심장 기능 부전을 초기에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며 심장소리를 듣는 것으로 결정 된다. 전통적인 청음 방법은 적절한 임상 경험과 잘 듣는 기술 이 있어야 한다. 전자 청진기는 컴퓨터가 도와서 청음하는 새 로운 분야에 길을 열었다. 심장질환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국 가에서 사망의 주 원인이 될것이며 2012년 순환계 질환으로 천칠백오십만명이 사망했으며 30%는 심장-밸브 질환으로 특 정적인 위치를 정하고 있고, 심장질환에서 사망률을 낮추는 것은 진단이 수명을 지켜준다. ECG가 심장질환을 강력하고 일반적으로 걸러주는데 상대적으로 가격도 싸고 비침습적이 며 사용하기가 쉽다. 심장질환에서 효과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며 비용이 저렴한 것은 심장청음이다.9)

    개발도상국가의 변두리 지역의 내과의사의 부족은 환자에 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기 힘들게 하여 급성 호흡기 감염 의 어린아이를 사망케 한다. 지역의 보건 책임자는 호흡기 질 환을 청진으로 구별할 능력이 없다. 이런 이유로 내과의사가 원격지에서 청진으로 심장-호흡음을 동시에 듣도록 하기 위 하여 기사가 환자의 몸에 청진기를 부착하면 video image도 보여지도록 한다. 무선 청진기를 동시에 듣도록 설계한다

    역학적 검사에 의하면 측두하악관절내강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임상증상 중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것이 하악 운동 중 발생하는 악관절음으로 걸쇠음(clickling), 폭명음(popping), 염발음(crepitus)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인구에 대해 14∼ 79%의 유병률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0,11) 미국구강 안면통증학회의 측두하악관절장애 분류는 종종 유사한 증상과 증후를 나타내는 비관절성, 관절성 질환들을 각각의 그룹으로 나누어 분류한다. 2010년 3월 AADR(American Association for Dental Research)이사회는 측두하악관절장애는 측두하악관절 저작근 근골격계신경질환을 포함한다고 하엿고 가장 흔한 원 판장애는 하악이 이동하는 동안 원판과 하악골 과두와의 마찰 에 의해 소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원판의 변위는 급성 또는 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악관절 잡음의 발생원인 및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외측 익돌근 상두와 하두 간 근기능의 부조화,1) 과두와 관절원판의 부조화,12,13) 악관절 의 이완성,2,13) 관절구성요소들의 불규척성14) 등이 거론되고 있 으며 이갈이,15) 치아교모, 교합의 부조화,12,16) 하악운동성 부 전,15,17) 외상16)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0년 대 초반에는 교합과의 관계, 형태학적인 검토가 진행되었고 치 아가 상실되어 교합위가 저하되면 하악과두가 저작근에 의 해 거상되고 그 압박으로 인해 관절원판에 변성, 천공을 유발 하며, 또한 악관절 형태는 교합의 영향으로 변화한다는 Prentiss18)의 보고가 있었다. 특히 교합과 관절기능 장애의 연 관성은 McCollum19)에 의해 일찍부터 주목받고 그 후 이 문제 에 대한 연구방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stohler20) 등은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에서 하악근육의 근전도를 정상인 과 비교하였을 때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저작의 불규칙 성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악관절잡음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청진, 촉진, 관절조영술21), 방사선영상술22), Pantograph23),24), 하악운동궤적기록4,25,26)), 음파홀로그라피, 전자진동술 등이 있 는데 검사자 내 및 검사자 간 신뢰도에 대하여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27,28). 통증을 느끼는 저작시 길항근으로 작용 했다.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신경 및 근골격계의 이상시 근전도(EMG) 측정 ,과두나 원판의 위치변 화시 영상사진진단(CT, TMJ projection) 및 가장 간단한 방법 으로 청진기를 이용한 청진 등이 있다. 이외에도 occlusal sonography 등 수종의 검사장비가 있으나 개발도상국가에서 U-health방법으로 권하고 있는 전자 청진기의 개발을 시도하 여 성공하였다.

    II.MATERIALS and METHODS

    측두하악관절장애 진단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청 진기를 이용하여 관절음을 듣거나 촉진에 의한 진단법을 사용 하고 있으나 관절음의 청음이나 관절부위촉진은 시술자의 경 험에 의한 것이며 객관적인자료를 제3자에게 확인 시킬 수가 없으므로 전자청진기에 기록 장치를 부착하여 객관적인자료 를 제공 할 수 있는 기구를 제작하였다. 자연치아가 28개 이상 이며 class III 등 심한 부정교합이 아닌 성인 남자 중에서 개구 폐구시에 클릭킹 사운드가 발생하며 악관절에 동통이 없는 환 자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기본적인원리는 개발도상 국가에 권하는 U-health 원격진료에 사용되는 전자청진기와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자청진기로 청음 시 전달 방법이 무선과 유선 두 가지가 있어 두 가지 방법을 다 사용했다. 무선을 사용한 이유는 진료 실에 유니트와 의자 등에서 관들이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1.Data acquisition method.

    1)청진기(stethoscope)

    청진기는 여러 상황에 적응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였 다. 라에네크의 청진기는 굵고 일직선으로 된 원통의 형태를 띠고 있었는데, 1829년에 영국의 의사 Nicholas Comins는 가 늘고 휘어진 모양의 청진기(flexiblestethoscope)를 선보였다. 또한 기존의 청진기는 귀에 대는 부분이 한쪽밖에 없었지만, 1852년에 미국의 내과 의사 George Cammann은 두 귀로 들 을 수 있는 청진기(binaural stethoscope)를 고안했다. 이어 1870년대에는 청진기에 소리를 확대하기 위한 마이크가 추가 되었고, 최근에는 청진기와 컴퓨터를 무선으로 연동하는 시도 가 이루어졌다.

    ①Sensor

    일반적으로 청진기에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전통적인 음향 청진기와 전자청진기이다. 전통적인 음향청진기는 chest piece에서 소리전달이 시작되어 공기가 채워진 속이 빈 튜브 를 지나 청음자의 귀로 전달된다. chest piece는 보통 2부분으 로 되어 있으며 소리를 청음하기위하여 환자의 반대방향으로 위치한다. Bell은 HF 소리를 막(diaphragm)은 LF 소리를 전달 한다. 음향청진기의 한 가지 단점은 소리의 레벨이 매우 낮다. 전자청진기는 낮은 음향레벨을 전기적으로 증폭시킨다. 소리 를 듣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마이크를 청진기의 막 뒤에 부착 하는 것이다. piezo-electric sensors는 단순하게 막의 소리를 인지하는게 아니고 자체의 결정물질을 변형시킴으로 전기에 너지를 생산한다.

    2)마이크로폰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변환기 또는 작은 발전 기이다.

    기구에 따라 분류하면 다이내믹형, 콘덴서 형, 크리스탈 형, 세라믹형 등으로 나누고 지향성에 따라 정면의 소리에 감도가 높은 단일지향성, 뒷면까지 감도가 높은 양지향성, 사방으로 좋은 무지향성으로 나눌수 있다.

    3)무선증폭기(RF control) : 무선통신

    무선통신이란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과 사람의 가청 주파수를 넘는(들을 수 없는) 초음파 영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으로, 일반 신호(사람 목소리 등)를 고주파와 합성하여 전파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이렇게 받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 하여 다시 원래의 신호로 바꾸는 방법을 말한다. RF 수신부, RF 송신부의 일반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근거리 무선송신은 RF, zigbee, blue tooth 방법 등이 있다.

    4)Amplifier and filter

    증폭과 여과는 어떤 신호계측기에서도 2대 중요한 부분이 다. 약한 증폭을 갖은 전 증폭기는 전선에서 발생하는 50~60 ㎐ 잡음을 억제한다. filter는 HS신호가 포함된 주파수 범위를 갖으나 band pass filter의 사용을 오류의 예방뿐 아니라 pass band 밖의 잡음도 제거한다. 증폭후에는 걸러진 신호는 analog-digital 변환기가 요구하는 범위까지 증폭하며. 전기신 호의 전압・전류 등을 크게 하는 장치이며 최근의 텔레비전 수 상기나 비디오테이프리코더와 같은 고도의 전자기기도 대전 력을 취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몇 개의 집적회로에 종합되 어 기기의 소형화・고신뢰화에 기여하고 있다.

    5)Digital storage oscilloscope(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과거에는 오실로스코프로 불렸으나 현재 는 스코프로 불린다. CRO (cathode-ray-oscilloscope) 또는 DSO(현대의 digital storage oscilloscope)등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신호가 2차원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을 관찰하면 증폭, 파장, 왜곡 등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의 디지털 기기는 이런 것을 직접 계산 한다. 오실로스코프는 반복되는 신호를 계속되는 형태로 화면 에 보여줄 수 있다. Storage oscilloscope는 기계에 저장되거 나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보여주는 것을 하나의 행위로 저장 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는 과학, 의학, 공학, 무선통신 등에 사용되나 의학에서는 심장박동수나 심전도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6)스피커

    스피커는 마이크로폰이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 는 트랜스듀서인데 반해 스피커(또는 라우드스피커)는 역으로 파워앰프에서 증폭된 전기신호를 받아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음향에너지로 변환한다.

    III.RESULTS

    자연치아가 28개 이상이며 class III 등 심한 부정교합이 아 닌 성인 남자 중에서 개구 폐구시에 클릭킹 사운드가 발생하 며 악관절에 동통이 없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나왔다.

    1.하악운동 기록기 (M.K.G)

    M.K.G는 하악운동의 궤적을 그림으로써 악관절증의 유무 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기능상 억제를 받는 것을 확인하는 것 밖에 다른 증세를 알 수 없다. 상의 그림은 정상이고 하의 그 림은 장애를 개구 및 폐구시 두 번 받는다. 설치 방법도 악관 절음 측정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어렵다.

    2.근전도 (E.M.G)

    근전도로 악관절이상을 판단하기는 매우 난해하 며 설치시간이나 측정시간은 악관절음 측정보다 간 단하고 짧을 수 있으나 근전도 단독으로 판단하기 는 힘들다.

    3.MRI(magnetic resonance image)

    자기공명 영상에서 악관절의 연골이 개구시 탈구되는 것이 보이나 나타나는 현상을 찾아내지 못하므로 시간과 비용을 투 자한 것에 비해 크게 효과가 없는 것 같다.

    4.오실로스코프

    D.S.O와 speaker 이용하여 악관절음을 청취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어느시기에 악관절음이 발생한 것 인지를 찾아내기 가 힘들어서이지 다른점은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IV.DISCUSSION

    환자를 진료하는데는 문진, 시진, 청진, 타진, 촉진 등의 방 법이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간단한 기구중의 하나가 청진기 이다. 청진기는 1816년 Rene Laenerk가 발명하였는데 현재까 지도 의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도구로 되어있다. 청진(聽診, auscultation)은 히포크라테스 시절부터 의사들이 사용하던 진 찰법이었다.1) 옛날의 청진은 직접 청진(direct auscultation)에 해당한다. 청진기와 같은 중간 매개체 없이 의사가 환자의 가 슴에 귀를 대고 폐나 심장에서 나는 소리를 바로 들었던 것이 다. 하지만 비만한 환자는 청진이 어려웠고, 젊은 여성 환자의 경우에는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도 높았다. 이와 함께 불결 한 환자를 청진하면 의사에게 기생충이 옮겨질 위험도 있었다.

    직접 청진의 대안으로 등장한 것은 타진(打診, percussion) 이었다. 타진은 환자의 신체를 두드려서 진찰하는 방법이 가 슴, 등, 관절 따위를 두드릴 때 나는 소리나 보이는 반응으로 병의 증세를 살피는 것이다. 타진은 1761년에 오스트리아의 외과 의사인 Leopold Auenbrugger가 ≪새로운 발명(Inventum Novum)≫을 통해 선보였다. 그가 타진법을 발명하는 데에는 여관업을 했던 부친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아우엔브루거의 타진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 사람은 파리의 샤리테 병원에서 내과 의사로 근무하던 Jean-Nicolas Corvisart-Desmarets였다. 당시에 그는 약 20년 동안 타진법을 진료에 활용했으며, 환자 에 대한 진찰 소견에서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해부학적 변화 를 예측하는 실력을 보였다. 코르비사르는 환자를 진찰하거나 시체를 부검하면서 타진 이론을 열심히 설명했으며, 그의 회진 에는 학생들이 구름같이 몰려들었다.

    라에네크는 낭트 의과대학에서 공부한 후 1801년에 코르비 사르의 병원에 합류했다. 라에네크는 종이를 둘둘 말아 한쪽 귀에 대고 다른 쪽 끝을 환자의 가슴에 대었다. 그 순간 환자 의 심장 소리가 라에네크의 귀에 또렷하게 들렸다. 당시의 상 황에 대하여 라에네크는 1819년 8월에 발간한 ≪간접 청진에 관하여(De l’Auscultation Médiate)≫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1816년의 일이다. 나에게 심장병 증세를 보인 젊은 여성이 왔다. 너무 비대해서 타진이나 촉진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다. 귀를 가슴에 직접 대고 들어보는 청진법은 환자가 젊 은 여성이므로 좋지 않았다. 나는 당시의 음향학에서 잘 알려 진 사실을 상기해 내고 곁에 있던 종이를 둘둘 말아서 한쪽 끝을 환자의 가슴에 대고 다른 쪽을 귀에 대보았다. 직접 청진 법으로 들었던 것보다 훨씬 똑똑하게 들리는 것이었다. 그 후 로 심장뿐 아니라 가슴과 장기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이 일이 있었던 직후에 라에네크는 공책을 단단하게 말아 원통을 만든 후 풀 먹인 종이와 실로 양 끝을 봉한 기구를 만들어 ‘원통(cylinder)’ 이라 부르다가 ‘청진기’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라에 네크는 청진기와 같은 중간 매개체를 활용하여 환자를 진찰하 는 방법을 ‘간접 청진(mediate auscultation)’으로 명명했다. 이후에도 몇몇 실험을 통해 청진기를 개량하고 표준화하는 작 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1819년에는 길이가 25센티미터, 지름 이 2.5센티미터인 속이 빈 나무 관으로 청진기가 만들어졌다.

    라에네크는 청진기를 활용하여 환자를 진찰한 후 그 결과 를 자세히 기록했다. 그는 3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폐, 심장, 늑막에 관련된 주요 질병들을 매우 정확하게 기술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신체 기관들이 내는 소리나 그 변화를 듣 고 여러 질병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라에네크는 자신이 들은 소리를 묘사할 단어도 만들었다. 수포음(rale), 마찰음 (crepitation), 잡음(murmurs), 흉성(pectoriloquy), 기관지성 (bronchophony), 양영음(egophony) 등 이었다. 대부분의 심 장질환은 심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청음하거나 하여 결정한 다. 심장청음은 심장기능부전을 초기에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며 악관절 질환도 악관절음을 청음함으로써 관절의 상 태를 진단할 수 있어 청진기의 사용은 질병의 진단에 많은 도 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도 청음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 되었다.

    청진기는 단기간에 대중화된 최초의 진단기구로 평가되고 있다. 청진기는 여러 상황에 적응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 였다. 라에네크의 청진기는 굵고 일직선으로 된 원통의 형태를 띠고 있었는데, 1829년에 영국의 의사 Nicholas Comins나 1852년에 미국의 내과 의사 George Cammann 및 1870년대에 는 청진기에 소리를 확대하기 위한 마이크가 추가되었고, 최근 에는 청진기와 컴퓨터를 무선으로 연동하는 시도가 이루어졌 다.29) 본 연구도 청진기와 D.S.O(Digital storage oscilloscope) 를 연결하여 악관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석비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마이크의 마이크로폰은 음향에너 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변환기 또는 작은 발전기이다. 기구 에 따라 분류하면 다이내믹형, 콘덴서 형, 크리스탈 형, 세라믹 형 등으로 나누고 지향성에 따라 정면의 소리에 감도가 높은 단일지향성, 뒷면까지 감도가 높은 양지향성, 사방으로 좋은 무지향성으로 나눌수 있다. 악관절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선명 하게 듣기 위하여 mike 및 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30)

    최근에 과학이 발달하면서 사람이 청음할 수 있는 음의 주 파수는 2~2000㎐인데 명확히 구별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므 로 Mike나 증폭기(Amp)등을 사용하여 선명하게 음을 듣고자 하는 시도로 전자청진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무선통신(radio communication, 無線通信)은 전자기파(電磁氣波)를 매개(媒 介)로 행하여지는 전기통신.두 지점간에서 유선전송로(전선) 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유선통신에 대해, 전선을 통하지 않고 전파를 통하여, 신호·부호·영상·음성 등의 정보를 교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선이라는 표현을 한 것이다. 악관절음의 전파를 무선을 통해 간단하게 전달하였다.

    J.C.맥스웰이 전자기파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전개한 것은 1864년이고, H.헤르츠가 전자기파의 존재를 실증한 것은 1888년이다. 마르코니는 1894년에 헤르츠의 실험에 흥미를 가지고 실험을 거듭한 결과 발진기(發振器)의 한쪽 끝에 수직 인 구리선으로 대지(大地)에 연결하면 능률적으로 전자기파가 복사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통신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무선통신은 근거리 통신으로 RF, Zigbee, Blue tooth31)등이 있으며 이는 진료실 내의 전선 등 장애물을 피해서 신호를 전달해주기 위해 사용했으며 간단하게 하기 위 하여 RF 통신을 선택하였다. 증폭과 여과(Amplifier and filter) 는 어떤 신호계측기에서도 2대 중요한 부분이다. 약한 증폭을 갖은 전 증폭기는 전선에서 발생하는 50~60㎐ 잡음을 억제한 다. 여과는 HS신호가 포함된 주파수 범위를 갖으나 band pass filter의 사용을 오류의 예방뿐 아니라 pass band 밖의 잡음도 제거한다. 증폭후에는 걸러진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요구하는 범위까지 증폭된다. 전기신호의 전압・전 류 등을 크게 하는 장치인 증폭기는 최근의 텔레비전 수상기 나 비디오테이프리코더와 같은 고도의 전자기기도 대전력을 취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몇 개의 집적회로에 종합되어 기 기의 소형화・고신뢰화에 기여하고 있다.32) 그냥 듣기는 어려 운 악관절음을 청진기의 diaphragm과 mike를 통한 후에 증폭 기를 이용하여 증폭시키므로 듣기가 쉬웠다.

    오실로스코프는 과거에는 오실로스코프로 불렸으나 현재 는 스코프로 불린다. CRO (cathode-ray-oscilloscope) 또는 DSO(현대의 digital storage oscilloscope)등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신호가 2차원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관찰하면 증폭, 파장, 왜곡 등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의 디지털 기기는 이런 것을 직접 계산 한다. 오실로스코프는 반복되는 신호를 계속되는 형태로 화면 에 보여줄 수 있다. Storage oscilloscope는 기계에 저장되거 나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상영되는 것을 하나의 행위로 저장 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는 과학, 의학, 공학, 무선통신 등에 사용되나 의학에서는 심장 박동수나 심전도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여러 가지 생체자료를 전기적으로 분석하여 해석하 는데 도움을 주고 객관적인 자료로 분석하는 기능을 갖고 있 다.33) 오실로스코프는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 악관 절음을 분석 비교하는 데 활용되었다.

    스피커는 마이크로폰이 음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 는 트랜스듀서인데 반해 스피커(또는 라우드스피커)는 역으로 파워앰프에서 증폭된 전기신호를 받아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음향에너지로 변환한다. 전화기의 수신기에서 처음 시작되어 영화관이 무성영화에서 유성으로 바뀌며 전 세계 영화관이 스 피커를 설치하는 계기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홈오디 오, 홈시어터 시스템으로 가정에도 보급되었다.34) 1904년 플 레밍과 1906년 포레스트에 의해 진공관앰프가 발명되고, 1906년 12월 캐나다의 레지널드 페센든(Reginald Fessenden) 에 의해 라디오가 개발되어 몇 년 후 보급되면서 앰프와 스피 커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환자나 제 3자가 악관절음 발생 여부 및 정도를 비교분석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악관절음을 다른 사람들도 같이 들을 수 있도록 하여 객관적 인 자료로 남길 수 있었다.

    개도국의 변두리 지역 아이들은 경험 많은 내과 의사가 없 어서 사망하는 수가 자주 있다. 변두리 지역의 공중보건책임 자인 의료기사들에게 이 기구를 훈련시켜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면 안타까운 사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자 청진기의 중요성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청진법으로 새 로운 기술 분야이다. 의학을 전공한 사람이 임상적으로 사용 하거나 공학 전공자가 기술적으로 연구하도록 우리는 전자 청 진기의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전자 청진기를 원거리에 있는 환자의 심 장 소리에만 신경 써 왔으나 소수의 사람들은 악관절의 이상 을 진단하는데 청진의 방법으로 전자 청진기를 사용하기를 주 장하고 있어 현재 사용하던 근전도는 사용방법, 기술 등에 문 제가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측두하악장애(TMJ D.)시 진 단 방법의 하나가 관절 소리인데 이를 찾아내는 방법은 다양 하지만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전자 청진기이나 현재 국내에서 는 개발하여 놓고도 의료기기법이나 의료기기법 시행세칙에 부적합하여 생산이 힘든 경우도 있고 정보통신기술협회의 기 술보고서와 상충되는 경우도 있어서 개발된 것이 생산에 곤란 함이 있다. 현재 전자 청진기가 식약처의 인가를 받은 곳이 5개 정도 되므로 규제를 완화하여 문호를 개방하고 전자 청진 기의 사용을 쉽게 하는 것 이 옳은 것으로 생각된다.

    Ⅴ.CONCLUSION

    라이네크는 청진기를 발명하여 질병의 진단에 크게 도움을 주었지만 가청주파수가 2~20,000Hz인 사람에서 도움이 안 되 는 경우가 있었으며 전자제품의 발달로 원격진료가 시행되고 있는 현대에서는 전자 청진기를 이용한 환자의 생체리듬을 원 거리에 동시에 전달해야한다.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시 가장 보편적으로 시행하는 악관 절음 청진법이 치과의사만 악관절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하여 객관적인 설명이 되지 않는 것을 치과의사, 환자 본인, 관계되 는 사람들이 환자의 악관절음을 보고 들어서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전자 청진기를 이용한 악관절음 청음 및 분석 기기를 개발하고자 시행하여 성공한 것을 보고 하는 것이다.

    Figure

    Table

    Reference

    1. KangS.M. HanG.S. SinM. (1995) A study on the noise and vibr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using electroautomatic techniques. , J Kor Orla Med, Vol.20 ; pp.141-158
    2. YunC.G. MaJ.S. (1982) A study on the relax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J Kor Prosthe, ; pp.2051-2066
    3. YunC.G. (1990) A study of internal deran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 J Kor Dental Occlusion, Vol.6 ; pp.201-210
    4. JeongS.H. LeeY.O. (1986) Mandibular movement pattern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tient with noise. , J Kor Oral Med, Vol.11 ; pp.19-27
    5. HongC. WangW. ZhongN.S. LiuY.M. (2010) The invention and evolution of the stethoscope. , Zhonghua Yi Shi Za Zhi, Vol.40 ; pp.337-340
    6. WHOWHOThe top 10 causes of death., http;//www.WHO. int
    7. ShuangL. RuS.T. KevinT.C.C. ChaoW. DhanjooG. LiangZ. (2015) The electronic stethoscope. , Biomed. Eng. Online, Vol.14 ; pp.66
    8. SanjivR SinghD (2014) Modified stethoscope for auscult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Vol.6
    9. EricsonB. (1997) Heart sounds and murmurs a practical guide., Mosby Year book inc,
    10. AgerbergG. CarlssonG.E. (1983) Functional disorders of the masticatory system Sympotoms in relation to impaired mobility of the mandible as judged from investigation by puestionnaire. , Acta Odontol. Scand., Vol.31 ; pp.335-347
    11. SolbergW.K. BibbC.A. NordstromB.B. HanssonT.L. (1986) Malocclusion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chanres in young adults at autopsy. , Am. J. Orthod., Vol.89 ; pp.326-330
    12. BarghiN. AguilarT. MartinezC. WoodaliW.S. (1987) Prevalence of types of temporomandibular jointclickings in subjects with missing posterior teeth. , J. Prosthet. Dent., Vol.17 ; pp.617-620
    13. CoffeyJ.P. MahanP.E. GibbsC.H. WelschB.B. (1989)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s of tooth guidance on working side condylar movement. , J. Prosthet. Dent., Vol.62 ; pp.157-162
    14. NanthavirojS. OmnellK-A. RandowK. ObergT. (1976) Clicking and temporary locking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Dentomaxillofac. Radiol., Vol.5 ; pp.33-38
    15. DroukasB. LindeeC. CarlssonG.E. (1984) Relationship between occlusal factors and signs and symptoms of mandibular dysfunction. A clincal study of 48 dental students. , Acta Odontol. Scand., Vol.42 ; pp.277-283
    16. SeligmanD.A. PullingerA.G. (1991) The role of functional occlusal relation ship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review. , J Craniomanib Disord Facial Oral Pain, Vol.5 ; pp.265-279
    17. SilverC.M. SimonS.D. SavastanoA.A. (1956) Meniscus injuries of the TMJ. , J Bone Surg, Vol.38 ; pp.541
    18. PrentissH.L. (1922) Reional anatomy emphasizing mandible move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full dentureconstruction. , J. Am. Dent. Assoc., Vol.15 ; pp.1085
    19. McCollumB.B. StuartC.E. (1955) A Research Report, South Pasadena, Califonia., Scientific Press,
    20. StohlerC YamadaY AshMM Jr (1985) Antagonistic muscle stiffness and associate reflex behaviour in the pain-disfunctional state Schweize Monats schr. , zahnmed aug, Vol.95 ; pp.719
    21. Isberg-HolmA.M. WestessonP. (1982) Movement of disc and condyle in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and without clicking A high-speed cinematographic and dissection study on autopsy specimens. , Acta Odontol. Scand., Vol.40 ; pp.165
    22. FarrarW.B. (1978) Characteristics of the condylar path in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MJ. , J. Prosthet. Dent., Vol.39 ; pp.319
    23. HatanoY. KollingJ.N. SternN. ClaytonJ.A. (1989) A graphic comparison of mandibular border movements generated by various articulators Part I Results. , J. Prosthet. Dent., Vol.61 ; pp.425-429
    24. KaplanA.S. AsselL. (1992) A Tem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is and treatment Saunders., Phladephia, ; pp.50-94
    25. HeffezL. BlausteinD. (1986) Advances in sonograp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J. Oral Surg., Vol.62 ; pp.486
    26. WilligenJ.V. (1979) The sagittal condylar movement of the clicking temporomandibular joint. , J Oral. Rehabili, Vol.6 ; pp.167-175
    27. RobertsC.A. (1988) Correlation of clinical parameters to the arthrographic depi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s. ,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198 ; pp.32
    28. TruelaveE (1987) Reliability of TMJ sounds pain 4(Abst No 157),
    29. Any medi companyAny medi company http://blog.daum.net/anymedi/253
    30. Samhomusic companySamhomusic companyAmplific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noise., http://www.samhomusic.com
    31. Naver knowledge encyclopedia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16588&cid=42344&categoryId=42344
    32. Naver knowledge encyclopedia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79411&cid=50324&categoryId=50324
    33. Naver knowledge encyclopedia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93762&cid=42340&categoryId=42340
    34. Naver knowledge encyclopediaNaver knowledge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4967&cid=49066&categoryId=49066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