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39 No.2 pp.513-520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15.39.2.513

Epidermoid Cyst Near the Submandibular Region Plexiform Neurofibroma from Children's Parotid Gland

You Jin Back1), Ni Kou1), Ji Sun Kim1), Sang Woo Kim1), Sang Mi Jeon1), Hong Ran Cho1), Ok Joon Kim1)*
1)Dental Research Institute,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Hong Ran Choi, DDS, PhD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ug-Gu, Gwangju, 500-757, Korea Tel: 82-62-530-4831, Fax: 82-62-530-4839 hongran@chonnam.ac.kr
February 13, 2015 February 16, 2015 March 28, 2015

Abstract

We present a case of intraparotid plexiform neurofibroma in a 7-year-old man. The lesion was determined as plexiform neuroma in histopathological findings, but final diagnosis was plexiform neurofibroma considering his familiy history of neurofibromatosis and café au lait spots on his body. Currently we are executing follow-up after removing the tumor with surgery. Plexiform neurofibroma can develope at any point along a nerve and spread out either just under the skin or deeper in the body.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most common site of plexiform neurofibroma is mouth and face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lso, plexiform neurofibroma occurs at 8.8-year-old in neurofibromatosis typeⅠ patient with familial history. Because of interlacing with adjacent normal tissue and the invasive nature we have difficult resecting the mass completely. So when the tumor turns symptomatic or disfiguring leading to an aesthetic problem, surgery had better be undertaken.


어린이의 이하선에서 발생한 망상형 신경섬유종
-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

백 유진1), 쿠 니1), 김 지선1), 김 상우1), 전 상미1), 최 홍란1), 김 옥준1)*
1)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초록


    I.INTRODUCTION

    신경섬유종(neurofibroma)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의 환자 에서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다. 이는 신경을 따라서 어떤 지점 에서든 발생될 수 있으며 보통은 늦은 청소년기에 형성된다1).

    신경섬유종에는 3가지 아형이 있다: (1) 피부형 (2) 피하형 (3) 망상형.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피부 직하방 또는 심부에 퍼지는 양성 종양이다. 이는 신경초세포, 피하 또는 내장 말초 신경에서 유래하며 여러 신경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2). 망상 형 신경섬유종은 드물게 발생하며, 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 의 약 5-15%를 차지한다. 망상형 신경섬유종에는 2가지 유형 이 있다: (1) 결절형 (2) 확산형3)

    1. 피부형: 악성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 않음. 표면에 존재 하는 부드럽고 단추 같이 생긴 종양

    2. 피하형: 국소적 통증 및 압통이 있는 진피의 종양

    3. 결절성 망상형: 등신경근과 관련되는 종양의 커다란 망

    4. 확산성 망상형: 모든 층의 피부, 근육, 뼈, 혈관과 관련된 침습성의 종양1)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얼굴, 다리, 척수 등에서 발생하며 명 확한 경계를 갖지 않는다. 이 종양은 미미한 불편감에서부터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증상이 나타난다4-6). 이 병소는 일관적 으로 ‛bag of worms‘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견고한 결절성의 부위 사이로 배치된 매끄러운 지역으로써 이 병소에 서 주목할 만한 소견이다.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전반적으로 천천히 성장하지만 유아 기, 사춘기 또는 임신기 동안에는 급성장이 일어나기도 한다7). 가끔 심한 출혈을 야기하는 혈관종의 특징을 보여 외과적 치 료를 복잡하게 할 수 있다3,5). 망상형 신경종은 외과적 절제가 주요 치료방법이지만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정상 조직과 얽혀 있고, 침습적 특징 및 종양의 위치로 인해 완전한 절제가 어렵 다. 증상이 있거나 심미적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면 일반적으 로 수술은 하지 않는다8). 또한,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약 5%가 악성전환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 깊은 추적검사가 필 요하다9).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 따르면 망상형 신경 섬유종은 두경부 부위에서는 구강 및 안면 부위에서 가장 호 발 하였고, 그 다음으로 타액선, 후두부 및 안구 순으로 발병 하였다. 환자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사례가 53.8%였고, 그 중 42.9%가 가족력이 있었다.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환자 의 평균 나이는 12.8세로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이 아닌 환자보 다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평균 17세정도 더 이른 나이에 발병 하였다. 또한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이면서 가족력이 있는 환자 의 평균 나이는 8.8세였다.

    본 논문에서는 7세의 어린 나이에 이하선 부위에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 보고하려고 한다. 조직학 적 소견은 망상형 신경종의 형태를 보였으나 환자의 가족력 및 임상적인 소견을 바탕으로 하여 망상형 신경섬유종으로 최종 진단이 내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 진단이 조직학적 진단과 달라지게 된 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어린 나이에 이하선 부위에서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발 생한 증례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 려 한다.

    II.CASE REPORT

    2013년 1월 7일, 7세 남아가 2주 전부터 왼쪽 귀 아래 부위 의 종창으로 전남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였다. 문 진 및 임상검사가 시행되었다. 과거력, 사회력 및 약물 부작용 은 없었으며 이하선 부위에 2cm 크기의 부드럽고 유연한 덩 어리가 관찰되었다. 또한, 모계 쪽이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 된 가족력이 있었고, 본 논문의 환자 및 누나의 몸에 café au lait 반점이 존재하였다.

    이하선 종양이 의심되어 미세침흡인생검을 실시 한 결과 다량의 혈액과 소수의 기질세포 및 염증세포 만이 얻어진 것 으로 보아 혈관종 등의 양성병소를 의심할 수 있었다. 경부 컴퓨터 단층촬영 상(Neck CT) 왼쪽 중두개(Middle cranial fossa)와 부위에 지주막낭종(Arachnoid cyst)이 발견되어 신 경외과와 협진 하였다.

    2014년 5월 30일 내원 시에는 4~5cm 크기의 압통이 있는 부드럽고 유연한 덩어리로 크기가 커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혈액화학검사 수치는 정상이었다.

    2014년 7월 10일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하여 병소를 제거 하였다. 수술 후 절제된 표본의 H&E 염색으로 조직학적 검사 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검사결과 이하선 부위의 망상형 신 경종으로 진단이 내려졌다. 하지만 환자의 가족력 및 임상적 인 소견을 바탕으로 최종 진단명은 망상형 신경섬유종으로 수정되었다.

    전남대학교 치의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Pubmed 및 SienceDirect를 통해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두경부 부위에 서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발생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26개의 증례를 찾을 수 있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III.RESULTS

    1.경부 컴퓨터 단층촬영

    경부 컴퓨터 단층촬영술을 시행한 결과 왼쪽 이하선 부위 에 4.1×2.5×4.1cm 크기의 병소가 관찰되었다. 혈관종과 같 은 양성병소 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비인두 아데노이드의 비대도 관찰되었다(Fig. 1).

    2.조직학적 소견

    수술 전 임상 검사 및 영상학적 검사를 통해 혈관종으로 예상되었던 병소를 외과적 절제술 후 병리검사를 시행하였다. H&E 염색 하에 관찰한 광학 현미경 소견 상 피막으로 잘 싸여 있고 경계가 뚜렷한 다발성 결절의 병소가 보였다. 장액샘이 분포해 있는 이하선을 불규칙하게 비틀리며 거대해진 신경 다발이 대체하고 있었다(Fig. 2A). 또한 병소가 인접 주위 조 직에 침습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양성 병소임을 추측할 수 있다. 신경 다발 사이로 섬유성 교원질이 존재한다(Fig. 2B).

    신경 다발은 물결모양의 신장된 핵을 가진 방추모양의 세포 로 구성되어 있었다. 점액 결합조직을 이루는 방추세포가 흩 어져있고, 풍부한 점액성 기저물질 내에서 슈반세포와 신경모 세포가 관찰된다. 슈반세포와 신경모세포가 동심원을 이루는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Fig. 3A). 신경 다발은 섬세하고 느슨 하게 정렬된 교원질성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다(Fig. 3E).

    IV.DISCUSSION

    본 논문의 환자는 수술 전 임상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결 과를 보았을 때 혈관종 임을 의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귀 아래 부위의 종창이 나타났을 때 소아에서 다음 순서의 빈도 로 나타나는 타액선 종양인 모세혈관종, 다형성 선종, 점액암 종 등과 감별진단 해야 한다. 또한 조직학적 소견이 비슷한 신경성 종양인 신경초종, 신경종과도 감별진단 해야 한다10). 이번 증례에서는 조직학적 소견에서 섬유아세포가 거의 보이 지 않아 조직학적 진단명은 망상형 신경종으로 내려졌다. 하 지만, 환자의 모계 쪽으로 신경섬유종증의 가족력이 있었고, 환자의 몸에 café au lait 반점이 관찰되었기에 환자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최종 진단명은 망 상형 신경섬유종으로 수정되었다.

    신경섬유종증은 주로 신경 조직의 세포 성장에 영향을 받 은 유전적 질환을 가진 그룹을 서술하는 용어로써, 염색체 17 번에 있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적어 도 8가지 형태의 신경섬유종증이 알려져 있으나, 가장 흔한 형태는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이다.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은 3000명의 신생아 당 1명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성별 의 차이는 없고, 제 1형 신경섬유종증 유전자에 일어난 돌연 변이에 의한 상염색체 우성 질환이다. 이는 유전적 질환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자연발생적 돌연변이 중 하나이 다. 이 질환의 환자 중 50% 만이 가족력이 있으며 나머지는 자연발생적 돌연변이이다1,2,4,11,12). 다음의 항목 중 2개 이상을 만족하면 제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다.

    1. 사춘기 전의 환자에서는 최대직경이 5mm가 넘는, 사춘기 후의 환자에서는 최대직경이 15mm가 넘는 6개 이상의 café au lait 반점

    2. 어떠한 유형이든 2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또는 하나의 망상 형 신경섬유종

    3.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위의 주근깨

    4. 시신경교종

    5. 2개 이상의 리쉬결절(홍채과오종)

    6. 가관절증이 있거나 없는 장골 피질의 얇아짐 또는 접형 이형성증 같이 구별되는 뼈로 된 병소

    7. 위 기준에 근거한 제 1형 신경섬유종증 직계가족 (부모님, 형제자매 또는 후손)4,5)

    본 논문의 환자의 경우 6개 이상의 cafe au lait 반점 및 제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 직계가족이 있으므로 2가지 항목을 만족하여 제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될 수 있었다.

    제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된 어린이 및 청소년기 환자 를 대상으로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유병률을 평가한 Luiz G와 Darrigo JR의 연구에 의하면, 17세 이하의 환자 104명중 38명 (26.9%)이 망상형 신경섬유종을 가지고 있었다14). 망상형 신 경섬유종은 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 는 양성종양이다.

    본 증례는 조직학적 소견만으로 진단명을 단정 짓지 말고 환자의 가족력 및 임상적인 소견을 면밀히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특히 망상형 신경종과 망상형 신경섬유 종은 같은 신경성 종양이기에 조직학적 소견이 매우 유사하 다. 하지만 이 둘은 치료방법 및 예후 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조직학적 소견 뿐 아니라 가족력 및 임상소견까지 함께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올바른 치료방법을 결 정해야 한다.

    망상형 신경종은 병소를 수술로 절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만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침습적 특성 및 종양의 위치 때문에 완전한 절제가 어렵다. 또한 보통은 정상조직과 얽혀있고 출 혈 및 손상의 가능성이 커서 절제 시에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절제하더라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고 재발을 하게 되면 악성전 환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증상이 있거나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한 수술은 하지 않으며 이는 특히 어린 아이들 의 경우에 적용 된다2,3,12,13). 실제로 본 논문의 환자도 7세의 어린 나이었기 때문에 병소가 더 커지면 수술을 할 계획이었 으나, 통증이 있어 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조직병리검사 결과 혈관성의 지역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술시 출혈이 많 았음을 예측할 수 있다.

    Table. 1은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보고된 두경부 부위에 서 발생한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두경 부 부위에서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가장 호발 하는 부위는 구 강 및 안면부위(각 28%)이고, 그 다음으로 타액선(18%), 후두 부 및 안구(각 11%), 상악동(3%) 순이었다(Fig. 4). 성비는 남:여=1:2로 여성에서 2배 더 발병하였다.

    본 논문의 환자의 경우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이하선에 발 생하였는데, 제 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 된 환자라도 망상 형 신경섬유종이 어린 나이에 주타액선에 발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주타액선 중에서는 이하 선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하고 악하선 및 설하선에서는 거의 발병하지 않는다15.16). Seifert 등에 의하면 신경섬유종은 타액 선 종양의 0.4%만을 차지하고,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이보다 더 드물다17). Castro 등은 아이의 주타액선에서 발생한 300개 사례의 종양 중 망상형 신경섬유종은 단지 2개였다는 것을 보고하였다18).

    총 26개의 사례 중 환자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사례는 14개(53.8%), 그렇지 않은 사례는 12개(46.2%)이다. 가족력 이 있는 사례는 6개(27.3%), 그렇지 않은 사례는 16개(72.7%) 이다. 환자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14개의 사례 중 가족력 이 있는 사례는 6개(42.9%)로 42.9%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나머지 57.1%는 자연발생적 돌연변이에 의해 제 1형 신경섬 유종증이 발병했음을 알 수 있다.

    평균 나이는 20.7세였으나,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환자의 평균 나이는 12.8세, 그렇지 않은 환자의 평균 나이는 30.0세 로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인 환자에서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평 균 17세정도 더 이른 나이에 발병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증 례와 같은 제 1형 신경섬유종증이면서 가족력이 있는 환자의 평균 나이는 8.8세였다(Fig. 5). 본 논문의 환자는 7세로 보고 된 사례의 평균 나이와 비슷하였다. 실제로, 망상형 신경섬유 종은 다른 아형의 신경섬유종에 비해 어린이에서 더 흔하다. 특히, 제 1형 신경섬유종증 유형 환자의 약 25%에서 출생기 또는 유아기 때 망상형 신경섬유종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마지막으로, 이 환자의 경부 컴퓨터 단층촬영술에서 중두 개와 부분에 지주막 낭종이 발견되었다. 이론적으로, 지주막 낭종은 지주막이 존재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나타날 수 있 다. 실제로는 터키안장(Sella turcica), 전두개와, 중두개와 같 은 주요 뇌 열구 부분의 표면에서 주로 일어난다. 지주막 낭종 은 첫 번째 유형 및 두 번째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 다. 첫 번째 유형의 지주막 낭종의 원인병리론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두 번째 유형은 외상, 염증반응 또는 뇌 종양등과 연관되어 발생 한다20-23). 또한, 지주막 낭종은 제 1형 신경섬 유종증 환자에서 유전적 장애로 인한 뇌 발달상의 문제로 발 생하기도 한다24). 제 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지주막 낭종 의 발견 사례는 매우 드물지만, 일본의 8살의 남아에서 2번째 사례가 보고되었다25).

    Figure

    KAOMP-39-513_F1.gif

    병소의 경부 컴퓨터 단층촬영술; 왼쪽 이하선 부위에 4.1×2.5×4.1cm 크기의 병소가 관찰됨. 비인두 아데노이드의 비대도 나타남.

    KAOMP-39-513_F2.gif

    H&E section (×20) 병소의 조직학적 소견 A. 장액샘이 분포한 이하선이 불규칙하게 비틀리고 거대해진 신경다발로 대체 된 모습 B. 인접 주위 조직에 침습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양성 병소. 신경다발 사이에 섬유성 교원질이 존재.

    KAOMP-39-513_F3.gif

    H&E section ×(50(A), ×200(B)) 병소의 조직학적 소 견 A. 물결모양의 신장된 핵을 가진 방추세포. 점액성 기질 내에 슈반세포와 신경모세포가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 B. 섬세하고 느슨 하게 정렬된 교원질성 결합조직

    KAOMP-39-513_F4.gif

    두경부에서 발생한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부위별 분포; N=28. 안면 및 구강(n=8;28%), 타액선(n=5;18%), 후두부 및 안구 (n=3;11%), 상악동(n=1;3%)

    KAOMP-39-513_F5.gif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평균 나이; 전체 평균(20.7세), 제 1형 신경섬유종증 및 가족력 있는 환자 평균 (8.8세),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 평균(12.8세), 비신경섬유종증 환자 평균(30.0세)

    Table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보고된 두경부 부위에서 발생한 망상형 신경섬유종의 증례

    Reference

    1. Neerja P (2013) A Study of Clinical Profile of Neurofibromatosis , JIMSA, Vol.26; pp.103-105
    2. Neurofibroma plexiform tumorsAvailable from:http://www.madisonsfoundation.org/content/3/4/display.asp [Last accessed on 2005 Dec 11], pp.-00
    3. Kam JR , Helm TN Neurofibromatosis , Available from:http://www.emedicine.com/Derom/topic [Last accessedon 2005 Dec 11],
    4. Cunha KS , Barboza EP , Dias EP (2004) Neurofibromatosis type I with periodontal manifest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Br Dent J, Vol.196; pp.457-460
    5. Neville BW , Damm DD , Allen CM (2002)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Elsevier, pp.457-461
    6. (2003) Oral pathology, Saunders, pp.174-176
    7. Aribandi M , Wood WE , Elston DM (2006) CT Features of Plexiform Neurofibroma of the Submandibular Gland: case report , Am J Neuroradiol, Vol.27; pp.126-128
    8. Patil K , Mahima VG , Shetty SK (2007) Facial plexiform neurofibroma in a child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A case report ,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Vol.25; pp.30-35
    9. Freedberg IM , Eisen AZ , Wolff K , Austen KF , Goldsmith LA , Kartz SI , Fitzpatrick TB (1999)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Mcgraw Hill, pp.2152-2158
    10. Jacqueline MB , Radhi J , Elden L (2001) Plexiform neurofibroma of the submandibular salivary gland in a child , Can J Gastroenterol, Vol.15; pp.835-837
    11. Cunha KS , Barboza EP , Dias EP (2004) Neurofibromatosis type I with periodontal manifest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Br Dent J, Vol.196; pp.457-460
    12. D'Ambrosio JA , Langlais RP , Young RS (1988) Jaw and skull changes in neurofibromatosis ,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66; pp.391-396
    13. Geist JR , Gander DL , Stefanac SJ (1992) Oral manifestations of neurofibromatosis type Ⅰ and Ⅱand ,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73; pp.376-382
    14. Darrigo Jr LG1 , Geller M , Bonalumi Filho A (2007) Prevalence of plexiform neurofibro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I neurofibromatosis , J Pediatr, Vol.83; pp.571-573
    15. Derekay S , Safali M (2000) Plexiform neurofibroma of submandibular gland , J Laryngol Otol, Vol.114; pp.643-645
    16. Blatt J , Jaffe R , Deutsch M (1986) Neurofibromatosis and childhood tumors , Cancer, Vol.57; pp.1225-1229
    17. Seifert G , Miehlke A , Haubrich J (1986) Pathology, diagnosis, treatment, facial nerve surgery. Stuttgart , Gerg Thieme Verlag, pp.171-301
    18. Catro EB , Huvos AG , Strong EW (1972) Tumors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in children , Cancer, Vol.29; pp.312-317
    19. Raymond SK (2005) Chapter 71 Neurofibromatoses. Current Management in Child Neurology , pp.451-461
    20. Pillai P , Menon SK , Manjooran RP (2009) Temporal fossa arachnoid cyst presenting with bilateral subdural hematoma following trauma: two case reports , J Med Case Rep, Vol.3; pp.53-55
    21. Schuknecht HF (1993) Pathology of the Ear, Lea & Febiger publications, pp.543-548
    22. Youmans JR (1990) Neurological surgery, Saunders, pp.1299-1332
    23. Cadoni G , Agostino S , Volante M (2006) Sudden cochlear hearing loss as presenting symptom of arachnoid cyst of the posterior fossa , Acta Otorhinolaryngol Ital, Vol.26; pp.115-117
    24. Westermaier T , Schweitzer T , Ernestus RI (2012) Arachnoid cysts , Adv Exp Med Biol, Vol.724; pp.37-50
    25. Yoshioka H , Lino S , Ishimura K (1984) An arachnoid cyst in an 8-year-old boy with neurofibromatosis , Brain Dev, Vol.6; pp.551-553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