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577(Print)
ISSN : 2384-0900(Online)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Vol.39 No.2 pp.487-492
DOI : https://doi.org/10.17779/KAOMP.2015.39.2.487

The Evaluation of PHBV-Collagen Nonofibrous Membrane for Efficient Guided Bone Regeneration

Hong-In Shi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Correspondence: Hong-In Shin Correspondence: Hong-In Shi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Tel: +82-53-420-4994 , Fax: +82-53-427-4918 hishin@knu.ac.kr
March 21, 2015 March 25, 2015 March 28,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guided bone regeneration by adapting the tissue-engineered bone regeneration approach. The PHBV-collagen nonofibrous membranes cultured with rat calvarial periosteum derived cells in osteogenic culture medium for 7 days were applied to 5 x 2mm size artificial rat tibial defects for 3weeks and evaluated its efficiency as an alternative cell engineered membrane for effective guided bone regeneration by routine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defects covered with cell attached PHBV collagen nanofibrous membrane complexes showed favorable bone repair compared to both membrane non-covered control and membrane only covered group without specific side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avorable guided bone generation can be achieved by adapting the tissue engineered bone regeneration approach using PHBV-Collagen nanofibrous membrane scaffold.


세포부착 PHBV-교원질 나노섬유의 골유도재생 효용성 평가

신 홍인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초록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INTRODUCTION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조직공학적 재생술은 지지체에 줄기 세포 또는 특정 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분화된 세포, 또는 특정 유전자 및 생활성 물질을 부착시켜 재생이 필요한 부위에 이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재생을 도모하고자 하는 술식이다1-3).

    효과적인 조직공학적 재생을 이루기 위해서는 원하는 부위 에서 원하는 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의 효과적인 도입이 관건이 된다. 이는 지지체에 분화된 세포를 직접 부착시켜 이식하거나 또는 재생이 요구되는 부위에 존재하는 미분화 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나 생활 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도입시킴으로써 이룰 수 있다4-5). 따라 서 재생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이런 세포 또는 인자 들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지지체의 개발과 세포 배양법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별히 골조직의 재생을 위해서는 골의 특성상 하중을 지 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골과 유사한 물리·화학 적 특성을 살린 지지체의 개발이 이어어져 왔다6-8). 다수의 골재생용 지지체는 바이오세라믹과 같은 무기물을 기반으로 주로 다공성 구조의 블록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9). 그러나 치 조골에서와 같이 소량의 골증대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의 골이식체가 널리 활용된다.

    치과용 보철물의 지지를 위한 치조골의 증대가 필요한 경 우 골이식술과 더불어 골유도재생술이 대표적인 술식이 되어 왔다. 따라서 세포가 부착된 막성 지지체를 차폐막 형태로 단독 또는 다양한 과립형 골이식제 이식과 병용함으로써 효과 적인 조직공학적 골재생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적합성이 양호한 생분해성 PHBV(3- 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를 기본재료로 하여 교원질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전기방사를 통해 직경 500nm 크기의 나노섬유들이 격자모양으로 짜여진 나노섬유막을 제 작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백서 두개골막 유래 세포들을 부착 식켜 백서 경골 골결손부에 적용시켜 조직공학적 골유도재생 술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II.MATERIALS AND METHODS

    1.실험재료

    조직공학적 골재생용 기법을 적용하여 골유도재생술의 효 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세포 지지용 차폐막으로 PHBV와 교 원질을 1:1로 섞어 전기방사하여 직경 500nm 크기의 나노섬 유들이 무작위로 격자모양으로 짜여진 PHBV-교원질 나노섬 유막을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200g 전후의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를 활용하였다.

    2.실험 방법

    가골결손부 형성

    백서 경골에 인위적으로 형성한 골 결손부의 회복 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먼저 실험동물을 마취한 다음, 양쪽 경골 상방 의 털을 면도칼로 제거하고, 알콜 용액으로 소독하였다. 그리 고 15번 수술용 칼로 상방 피부를 1cm 크기로 절개하여 경골을 노출 시킨 후, 저속 치과용 엔진을 이용하여 발열이 되지 않도록 생리식염수를 수주하면서 5×2mm 크기의 골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나PHBV-교원질 나노섬유막 및 PHBV 나노섬유막-세포 복합체 이식

    48well plate를 이용하여 백서 두개골막 유래의 일차배양 세포를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에 파종하여 일주간 골유도 배양조건하에서 배양한 다음, 좌측에는 세포를 부착시키지 않은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을 우측에는 세포를 배양 부착 시킨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을 경골의 골결손부에 각각 이 식하였다. 그리고 5-0 vicryl® 봉합사를 이용하여 층별 봉합한 후, 타도마이오셀® 연고를 도포하였다. 감염 예방을 위해 추 가적으로 폭소린® (0.1cc/day)을 3일간 근주하였다. 섬유막 을 이식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 리하였다.

    다조직학적 관찰

    실험 3주째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양쪽 경골을 절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통법에 준하여 10% Formic acid 용액으로 탈회시켜, 파라핀 포매 블록을 제작한 다음, 5um 두께의 절편을 형성하였다. 이들 절편을 H&E 염색 한 후 조직학적 골성 회복 양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III.RESULTS

    골결손부 처치 3주째, 차폐막을 위치시키지 않은 군에 비 해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만을 위치시킨 군에서 보다 양 호한 골성회복을 이루었다. 그리고 두개골막 유래 일차배양 세포를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에 부착시켜 골유도배양조 건하에서 일주간 배양하여 위치시킨 실험군에서 보다 양호 한 골성 회복을 나타내었다. 차폐막을 이식하지 않은 군에서 는 회복된 피질골판이 골수양 결체조직이 다수 함유된 불연 속적인 판상구조를 보였고, 일부 골조직들은 골세포를 다수 함유한 미성숙 섬유골 양상을 나타내었다(Figure 1A). 세포 를 부착시키지 않는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을 이식한 군 은 비교적 양호한 판상 구조의 성숙된 치밀골에 의한 회복을 나타내었으나 골수양 결체조직이 내부에 함유되어 완전한 골판 구조를 이루지는 못하였다(Figure 1B). 반면, PHBV-교 원질 나노섬유막에 백서 두개골막 유래 세포를 부착 배양하 여 이식한 군에서는 조혈성 골수 영역이 뚜렷이 감소된 보 다 치밀한 층판골에 의한 양호한 골성회복양상을 나타내었 다(Figure 1C).

    IV.DISCUSSION

    일반적으로 골조직은 재생능력이 양호한 조직으로 분류되 며, 임계크기 이하의 골손상에서는 골모세포들에 의해 반흔 형성 없이 완전한 골성회복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원인 에 의해 과도한 골결손이 이루어 질 경우는 골이식술과 같은 부가적인 술식이 요구된다. 이런 경우 자가골 이식을 비롯한 다양하게 처리된 동종골 및 이종골 그리고 생합성 골이식체들 에 의한 골성 회복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10-12).

    최근 지지체에 세포 또는 유전자 및 생활성 물질 등을 부착 시켜 조직 손상부위에 이식하여 효과적인 재생을 도모하는 조직공학적 재생술이 확립되면서 이들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13). 치조골의 경우 다 른 부위의 골조직과 달리 골결손부위가 작은 경우 과립 또는 분말형의 골이식제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식된 골이식제를 효 과적으로 그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골유도재생술에 활용되는 다양한 흡수 또는 비 흡수성 차폐막 을 이용하여 골이식체를 제위치시켜 섬유조직의 유입을 차단 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런 차폐막 대용으로 자가혈에서 얻어 지는 혈소판 농축 섬유소막(PRF)을 이용함으로써 골재생효과 의 극대화를 도모하기도 한다14).

    치조골의 효과적인 증대를 위한 또다른 시도로 차폐막에 골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골모세포 또는 골손상부위의 미분화 세포들을 골모세포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성물질을 부착시키는 골유도재생술 단독 또는 이들 술식의 골이식과 병용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세포의 부착 보관이 용이한 PHBV-교 원질 나노섬유막을 조직공학적 골재생술을 겸비한 골유도 재 생술의 차폐막으로써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PHBV는 양호한 생체적합성과 흡수성을 지닌 물질로 다양 한 물질과 혼합하여 전기방사를 통해 얻어지는 직경 500nm 크기의 섬유를 격자모양으로 무작위로 짜여진 얇은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PHBV에 다양한 성분들 즉 교원질 또는 젤라 틴 등과 같은 성분을 함유시켜 제작한 PHBV 기반 나노섬유 막에 대한 조직공학적 지지체로서의 유용성이 여러 실험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의 세포 부착 및 증식능 그리고 냉동보관성의 용이성과 효용성이 앞선 실험에서 확인되어 본 실험에서는 이들 세포-지지체 복합체의 조직공학적 골재생효 과와 골유도재생술의 효과를 평행시킴으로 골성회복을 극대 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에 백서 두개 골막에서 채취한 일차배양세포를 골성유도배양 조건하에서 골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골유도배양조건에서 일주 간 PHBV-교원질 나노 섬유막에 부착시켜 형성시킨 세포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 복합체를 대안적 차폐막으로 하 여 인위적으로 백서 경골에 형성한 5×2 mm 크기의 골결손 부에 이식하였다. 그리고 골막, 근육, 그리고 피부 순으로 층 별 봉합하였다. 세포가 부착된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은 큰 어려움 없이 쉽게 조작할 수 있었으며, 이들 세포-지지체 복합체는 골결손부위에 무리없이 접합되었다. 그리고 봉합사 를 이용하여 골조직과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긴밀히 고정할 수 있었다. 시술 3주 후 골재생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한 결과, 골결손부를 막으로 피개하지 않은 군보다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을 차폐막으로 사용한 군에서 보다 양호한 골성회복을 보였으며, 특히 백서 두개골막세포를 부착 배양하여 이식한 군에서 더욱 양호한 골성회복 양상을 나타내 었다.

    이와 같은 소견은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이 골유도재생 술의 차폐막로서 효과가 인정될 뿐 아니라 세포 부착에 의한 조직공학적 접근이 골유도재생술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배가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백서의 경우 두피가 얇아 넓은 두개 골로부터 쉽게 두개골막을 체취할 수 있고, 두개골막에 존재 하는 세포들이 골유도배양조건하에서 양호한 골성분화를 이 룬다는 점에서 이들 세포들이 조직공학적 골재생술에 좋은 세포 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사람의 경우는 두피가 두꺼워 상대적으로 얇은 피부조직을 덮여 있는 경골의 골막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을 골유도 재생술의 차폐막으로 활 용하여 상황에 맞게 골막 또는 골수, 치수, 지방 등과 같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세포를 제공받아 부착‧배양시킴으로 써 세포-지지체 복합체를 형성하여 통상적인 골이식술 및 골 유도재생술에 조직공학적 재생효과를 부가시킴으로 골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KAOMP-39-487_F1.gif

    술 후 3주째 백서 경골 결손부의 회복양상. A: 비이식 대조군, B: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 단독 이식군, C: 백서 두개골막 유래 배양 세포 부착 PHBV-교원질 나노섬유막 이식군. (H-E, 원배율 ×40, 확대부 ×100)

    Table

    Reference

    1. Salgado AJ , Coutinho OP , Reis RL (2004) Bone tissue engineering: state of the art and future trends , Macromol Biosci, Vol.4; pp.743-765
    2. Oryan A , Alidadi S , Moshiri A1 , Maffulli N (2014) Bone regenerative medicine: classic options, novel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 J Orthop Surg Res, Vol.9; pp.17-18
    3. Cancedda R , Giannoni P , Mastrogiacomo M (2007) A tissue engineering approach to bone repair in large animal models and in clinical practice , Biomaterials, Vol.28; pp.4240-4250
    4. Hosseinkhani M , Mehrabani D , Manafi A , Shirazi R (2014) Tissue engineered scaffolds in regenerative medicine , World J Plast Surg, Vol.3; pp.3-7
    5. Gothard D , Smith EL , Shakesheff KM , Oreffo RO (2014) Tissue engineered bone using select growth factors: A comprehensive review of animal studies and clinical translation studies in man , Eur Cell Mater, Vol.28; pp.166-207
    6. Aichelmann-Reidy ME , Yukna RA (1998) Bone replacement grafts. The bone substitutes , Dent Clin N Am, Vol.42; pp.491-503
    7. Babis GC , Soucacos PN (2005) Bone scaffolds: the role of mechanical stability and instrumentation , Injury, Vol.36; pp.S38-44
    8. Wagoner Johnson AJ , Herschler BA (2011) A review of the mechanical behavior of CaP and CaP/polymer composites for applications in bone replacement and repair , Acta Biomater, Vol.7; pp.16-30
    9. Xie H , Wang Q , Ye Q , Wan C , Li L (2012) Application of K/Sr co-doped calcium polyphosphate bioceramic as scaffolds for bone substitutes , J Mater Sci Mater Med, Vol.23; pp.1033-1044
    10. Giannoudis PV , Dinopoulos H , Tsiridis E (2005) Bone substitutes: an update , Injury, Vol.36; pp.S20-s27
    11. Eppley BL , Pietrzak WS , Blanton MW (2005) Allograft and alloplastic bone substitutes: a re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craniomaxillofacial surgeon , J Craniofac Surg, Vol.16; pp.981-989
    12. Hoexter DL (2002) Bone regeneration graft materials , Oral Implantol, Vol.28; pp.290-294
    13. Ma J , Both SK , Jansen JA , van den Beucken JJ (2014) Concise review: cell-based strategies in bone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 Stem Cells Transl Med, Vol.3; pp.98-107
    14. Joseph VR , Sam G , Amol NV (2014) Clinical evaluation of autologous platelet rich fibrin in horizontal alveolar bony defects , J Clin Diagn Res, Vol.8; pp.ZC43-47
    오늘하루 팝업창 안보기 닫기